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진 보여주며 한국말로 질문해도 답변 척척…구글 AI챗봇 바드 신기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구글 검색의 미래는 AI"
구글 지도, 문서, 지메일 등과도 연계 방침
챗GPT와 경쟁 가속화

구글이 인공지능(AI) 챗봇 '바드'(Bard)를 미국과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180개국에서 전면 오픈했다. 영어뿐 아니라, 한국어와 일본어 지원도 시작했다. 최근 생성형 AI챗봇 열풍을 주도하고 있는 '챗GPT'와의 경쟁도 본격적으로 가열될 전망이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는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 쇼어라인 엠피씨어터에서 개최한 '구글 연례 개발자 회의(I/O)'에서 "오늘부터 바드 이용을 위한 대기자 명단 운영을 종료한다"며 "한국어와 일본어를 시작으로 곧 40개 언어로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진 보여주며 한국말로 질문해도 답변 척척…구글 AI챗봇 바드 신기능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AD

바드에는 이날 구글이 최초 공개한 차세대 대규모 언어 모델(LLM) 팜2(PaLM)가 탑재됐다. 입력된 내용에 따라 사람과 유사한 응답을 제시하는 팜2는 20개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10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한다. 글쓰기는 물론 분석, 코딩, 수학문제 풀이 등도 가능하다.


한국어, 일본어 서비스도 시작했다. 구글의 바드 제품 책임자인 잭 크라우치크는 사전 미디어브리핑에서 바드가 영어, 한국어, 일본어로 질문에 답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용자의 질문에 이미지로 답을 제시하는 등 시각적 요소도 추가된다. 구글 렌즈를 통해 이미지를 분석할 수도 있다. 일례로 이용자가 공예용품으로 가득찬 서랍을 스마트폰으로 찍은 후 '이것으로 무엇을 만들 수 있는 지' 물어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구글은 팜2가 탑재된 바드를 향후 구글 지도, 문서, 스프레드 시트, 지메일의 정보와도 연계할 예정이다. 바드가 내놓은 답변은 구글 지메일, 독스 등으로 송출할 수도 있다.


아울러 구글은 '포토샵'으로 잘 알려진 어도비와도 손 잡았다. 어도비가 지난 3월 출시한 파이어플라이를 통해 이미지 편집 등도 가능하다. 이밖에 눈의 피로를 줄이기 위한 다크모드 기능 등도 새롭게 추가됐다.


현재 구글은 컨버스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검색엔진에 생성형AI를 도입하고 있다. 바드를 결합한 새로운 검색 엔진은 이날부터 일부 이용자들의 등록을 받고 몇 주내에 시범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현지 언론들은 "구글 검색의 미래는 AI"라고 평가했다.


다만 피차이 CEO는 이러한 기술들이 아직 초기 단계라는 점, AI 기술에 대한 책임감도 명확히했다. 앞서 오답사태 등을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그는 "앞으로 관련 서비스를 확장해 나가며 품질을 중시하고 엄격하고 책임감 있는 기준에 따르겠다"며 "AI 원칙을 준수하면서 혜택은 최대화하는 방식으로 AI를 개발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구글은 이날 회사의 첫 폴더블폰인 픽셀 폴드도 선보였다. 내부 디스플레이 7.8인치, 외부 디스플레이 5.8인치다. 가격은 1799달러로 선 주문은 이날부터 시작된다.




뉴욕=조슬기나 특파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