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특징주]그린케미칼, 美 화력발전소 탄소포집시설 ‘의무화’ 추진…관련 기술 부각↑

시계아이콘00분 3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그린케미칼이 강세다. 미국이 화력발전소의 탄소포집 시설 설치를 사실상 의무화한다는 소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오전 9시49분 현재 그린케미칼은 전일 대비 2.25% 상승한 1만2270원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 등에 따르면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은 현재 환경보호국(EPA)이 제출한 화력발전소 온실가스 배출 제한 강화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 관련 업계에서는 화력발전소가 새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 탄소 포집 장치를 광범위하게 갖추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탄소포집 기술은 그간 비용 문제로 인해 널리 채택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미국 내 3400여개 화력발전소 가운데 탄소포집 장치를 설치한 곳은 20곳뿐이다. 전 세계적으로도 이 시설을 갖춘 발전소는 40여개에 불과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바이든 정부는 기술 발전을 위해 연구와 시연 프로젝트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다. 또한 지난해 시행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대기 중 탄소를 포집한 기업에 대한 연방정부의 세액 공제를 종전의 이산화탄소 1톤당 85달러에서 135달러(약 18만원)로 대폭 상향했다.


AD

한편 그린케미칼은 이산화탄소 포집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CCU 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효원 기자 specialjh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