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국발 황사라니? 우리도 피해자" 적반하장 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국 언론의 '중국발 황사' 보도에 반발
"최근 황사 크케 감소" 주장

중국을 강타한 대규모 황사가 한반도와 일본을 덮친 가운데 중국이 '중국발 황사'라는 한국과 일본의 표현에 반발했다.


중국 중앙 기상대가 올해 가장 강력한 두 차례의 황사는 수도 베이징에서 600㎞ 이상 떨어진 몽골에서 발생한 것이라 분석했다고 16일 관영 글로벌타임스가 보도했다.

 "중국발 황사라니? 우리도 피해자" 적반하장 中 황사의 영향으로 수도권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 수준을 보인 13일 서울시청 인근 전광판에 관련 안내문이 표시되어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AD

황사의 발원지가 중국이 아닌 몽골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며 자국도 피해자라는 주장이다.


글로벌타임스는 그러면서 한국과 일본의 일부 언론은 황사가 자기 나라로 퍼져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끼쳤다고 보도했다며 한일의 중국발 황사 표현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관영 환구시보도 "몽골에서 시작된 황사에 대해 한국 일부 언론은 중국발 황사라고 보도했다"며 "심지어 재난이나 지옥 같은 선동적인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기상 문제의 책임을 중국에 전가한 게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며 2021년 3월 중국 외교당국이 자국도 황사의 피해자라고 주장했던 사실을 언급했다.


신문은 "중국은 사막화 방지를 고도로 중시해 중요한 성과를 달성했다"며 "최근 황사가 크게 감소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중국은 자국 영토인 신장위구르자치구와 네이멍구자치구 지대에 발원하는 황사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고 있다.


중국이 '중국발 황사'라는 표현에 불쾌한 심기를 드러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21년 3월 최악의 황사가 한반도를 덮친 이후에도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환경과 대기 문제는 국경이 없다. 검측 기관에 따르면 이번 황사는 중국 국경 밖에서 시작됐고 중국은 단지 거쳐 가는 곳일 뿐"이라고 반박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 미 항공우주국(NASA)과 한국 국립기상과학원은 "몽골에서 시작된 황사 바람이 중국 내 고비 사막과 네이멍구 고원을 거쳐 몸집이 커졌고, 한반도에 들어온 황사는 중국 영토 요인이 더 크다"고 진단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