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걷기도 전에”…유아 12%, 돌 이전 디지털기기 접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3∼5세 유아 54.3%가 24개월 이하에
부모 “유해성 인식하지만 활용 필요” 인식

만 3∼5세 유아의 10명 중 1명 이상이 돌 이전에 디지털 기기를 처음 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기기를 접촉하는 연령이 점차 낮아지는 만큼 적절한 안전 교육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한국교원대 산학협력단이 작성한 ‘2022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자료 및 콘텐츠 개발’ 보고서에 따르면, 만 3∼5세 유아의 54.3%가 24개월 이하일 때 디지털 기기를 접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조사의 설문은 지난해 8월 29일부터 열흘간 전국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 학부모 217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중 13∼24개월 이하 시기에 자녀가 디지털 기기를 처음 접했다는 답변이 42.5%였으며, 돌 이전인 0∼12개월 이하일 때 처음 접한 경우도 11.8%로 나타났다.


24개월 이후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답변율이 하락했다. 25∼36개월 이하에 디지털 기기를 처음 접한 비율은 24.0%, 만 3세는 14.7%, 만 4세는 5.4%, 만 5세는 1.7%로 파악됐다.


“걷기도 전에”…유아 12%, 돌 이전 디지털기기 접해
AD

또 자녀가 자랄수록 디지털 기기 이용 시간이 ‘증가했다’는 응답은 75.1%로, ‘변동 없다’(14.4%), ‘감소했다’(10.6%)보다 높았다.


사용 일수에 대한 질문을 보면 ‘매일 사용한다’는 답변이 40.7%였으며, ‘주 1∼2일’(23.0%), ‘주 3∼4일’(21.0%)이 그 뒤를 이었다. 하루 평균 디지털 기기 이용 시간은 ‘30분 이상∼1시간 미만’이 33.6%, ‘1시간 이상∼2시간 미만’이 33.2%였다. ‘3시간 이상’이라는 답변도 5.8%로 조사됐다.


자녀의 디지털 기기 사용에 대한 학부모 인식 조사에서는 부정적인 답변이 많았다. ▲필요성 ▲학습 효과성 ▲유해성 ▲ 발달 유용성 등 네 가지 항목을 조사한 결과 ‘유해성’에 대한 인식이 3.28점으로 디지털 기기 활용의 ‘필요성’(3.21점), ‘학습 효과성’(3.20점), ‘발달 유용성’(2.91점)보다 높았다.


특히 유아의 디지털 기기 활용이 신체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은 3.74점으로, 각 부문 내 세부 항목 아홉 가지 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반면 유아의 디지털 기기 활용이 언어 발달·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할 것이라는 인식은 최저인 2.81점으로 조사됐다.


부모의 75.7%는 자녀의 디지털 기기 이용 시간이나 공간, 이용 방법에 대한 규칙을 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별다른 규칙을 세우지 않는다는 답도 24.3%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학부모들은 영유아의 디지털 기기 활용의 유해성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면서도 이를 적절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며 “영유아기 디지털 기기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학부모 지원 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