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시멘트協 "레미콘 업계 '웃돈' 주장, 사실과 달라…수급 안정 최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국시멘트협회, 5일 공식입장 발표
환경투자 완료·수출 물량 내수로 전환
"인위적 생산 조절? 섣부른 의혹제기"

시멘트協 "레미콘 업계 '웃돈' 주장, 사실과 달라…수급 안정 최선"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시멘트 대란으로 건설 현장에 비상이 걸리자 시멘트 업계가 "정부의 수급 안정 대책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일부 레미콘 업체에서 시멘트 업계로부터 '웃돈' 구매를 제안받았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했다.


한국시멘트협회는 5일 공식 입장을 통해 "예기치 못한 건설 현장의 수요 증가로 레미콘 공급 부족, 일부 건설 현장의 가동 차질로까지 이어졌다"면서 "수급 불안 해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먼저 이번 시멘트 대란의 원인은 생산량 문제가 아닌 수요 증가에 있다고 했다. 올해 1~3월 시멘트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3.6%(37만t)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8%(79만t) 늘어났다는 것이다.


시멘트 수요가 증가한 이유로 ▲온화한 날씨 속 건설 착공 확대 ▲화물연대 운송 거부 사태 이후 이월 물량 증대 ▲레미콘 품질관리 기준 강화에 따른 시멘트 투입량 확대 등을 언급했다.


업계는 시멘트 수급 불안을 줄이기 위해 생산 설비에 대한 정기대보수를 이달 중 대부분 마무리하거나 하반기로 연기할 예정이다. 해외 수요처와 계약한 수출 물량(25만t 이상)은 내수로 우선 공급한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환경투자를 기한 내 완료해 조만간 시멘트 생산량이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멘트協 "레미콘 업계 '웃돈' 주장, 사실과 달라…수급 안정 최선"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다만 일각에서 레미콘 공급 지연·중단으로 인한 건설 현장의 비상상황을 '시멘트업계의 인위적인 생산량 조절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시멘트협회는 "섣부른 의혹 제기는 사태 해결보다 업계 간 오해와 불신의 골만 더 깊게 만들 것"이라며 "시멘트·레미콘·건설산업 간 상생을 저해하는 매우 유감스러운 행태"라고 비판했다.


일부 레미콘업체에서 시멘트업계로부터 웃돈 구매를 제안받았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협회는 "레미콘 업체는 통상적으로 시멘트 구매 시 거래 관계를 고려한 다양한 할인율 적용을 요구하며, 시멘트 업계 또한 이를 반영해 시멘트를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새로운 시멘트업체와 추가 물량 공급을 위한 신규 거래를 요청하는 과정에 기존 거래처보다 불리한 조건(할인율 축소 등)으로 공급받는 것을 자발적으로 제안한 후 외부에는 시멘트 업체로부터 웃돈 요구를 받았다고 표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협회는 "건설 현장 가동 차질의 조기 해소를 위한 제품의 적기 생산·공급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면서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와의 협력 하에 수급 상황 점검, 시장 안정화 대책 추가 마련 등을 통해 상생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