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관가 in]인사 앞둔 공정위 “정책길만 출세길?” 웅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오는 14일 공정위 조직개편 인사이동 앞둬
조사부 직원들 실질 업무량 늘까 걱정
대면보고 기회 축소로 승진 가능성 제한도 우려

[관가 in]인사 앞둔 공정위 “정책길만 출세길?” 웅성
AD

오는 14일 예정된 공정위의 새 조직개편안에 따른 인사안이 내부에 공유된 가운데, 직원들 사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조사부서로 배치된 직원들은 고위급 대면보고 기회가 대폭 줄어들어, 정책부서에 비해 ‘승진 가능성’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고민한다. 또 기존 체제에서보다 조사팀 직원들의 1인당 실질적 업무량이 늘어날 수 있다는 걱정도 있다.


5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공정위는 오는 14일 현재 사무처를 조사부서와 정책부서로 분리하는 조직개편과 함께 인사이동을 실시한다. 지난주 이미 국장과 과장 자리 등 주요 인사안은 내부에 공유된 상태다. 인사이동을 앞두고 공정위 내부는 뒤숭숭한 분위기다. 공정위 직원들은 조사와 정책 부서 분리에 따라 자신이 처리해온 업무를 정리하는 막바지 단계를 밟고 있다.


대면 보고 기회 희소해진 조사부서 과장님들...조사 업무량 폭증도 걱정

다만 조사부서에 배치된 과장들 사이에서는 여러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실질적인 승진 기회가 정책부서에만 쏠릴 것이라는 걱정이 지배적이다. 조사업무의 경우 보통 장시간이 소요돼 ‘윗선’에 보고할 일이 많지 않다. 대면 보고를 통해 실적을 강조할 기회가 희소하다는 뜻이다. 현행 체제에서는 조사부서 과장도 정책 업무를 병행하기 때문에, 대면 보고 기회가 적지 않았다.


공정위 A 과장은 “출세하려면 정책부서로 가야한다는 이야기가 오간다”면서 “안그래도 조사부서는 대면 보고 자체가 희소한데 앞으로는 더욱 희박해진다”고 말했다. 이어 “결국 윗선에서는 조사부서에 어떤 ‘인재’가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사과 직원들의 실질적인 업무량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걱정도 있다. 현 체제에서는 한 부서내에서 정책업무만을 별도로 수행하는 직원이 많지 않았다. 대부분 직원들이 조사 업무를 진행하면서 정책을 병행하는 구조였다. 공정위 B과장은 “때문에 기존 조사 인력이 정책 인력으로 분리되면, 결국 1인당 조사업무량이 실질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사와 분리된 정책부서의 역량에 대한 걱정도 있다. 기존에는 대부분 조사를 통해 현장에서 파악한 문제점들을 정책 설계시 반영했다. 이같은 유기적 프로세스가 끊기면서 ‘책상머리’에서만 정책을 고민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공정위 C 과장은 “현장 조사를 진행하면서 파악한 문제를 고민하면서 정책으로 승화하는 유기성이 단절되는 셈”이라며 “정책부서와 조사부서 간 칸막이가 높아지게 되면 효율성 측면에서도 걱정이 된다”고 귀띔했다.공정위 인사 담당 부서 관계자는 조사 부서의 대면 보고 기회 축소에 대해 “정책과에서 대면보고 하는 사안들은 그때그때 발생하는 자잘한 사안들이 많다”며 “반면 조사과는 사회적으로 굵직한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역량을 입증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책과 조사 업무를 동시에 병행하다보면 현안 대응 우선순위에서 조사 업무가 밀리는 경우들이 생겼다”며 “때문에 조사와 정책 부서간 분리로 업무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은주 기자 golde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