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머스크, 뉴욕타임스에 독설 "설사와도 같아…읽을가치 없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트위터 인증마크 정책 비판에 반격
NYT "트위터 인증에 돈 안 쓸 것"
머스크 "NYT는 읽을 가치가 없다"

2일(현지 시각) 미국 유력 일간 뉴욕타임스(NYT)의 트위터 계정에서 인증 마크인 '체크'가 돌연 사라졌다.


앞서 NYT가 트위터의 새로운 유료 인증 정책에 비판적인 기사를 내보내자 머스크가 NYT 계정에서 인증 마크를 떼겠다고 공언한 뒤 벌어진 일이다.


머스크, 뉴욕타임스에 독설 "설사와도 같아…읽을가치 없어"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트위터가 도입한 유료 인증 정책이 미국 주요 언론사들과 기관 등에서 외면받는 양상을 보이자 일론 머스크 트위터 최고경영자(CEO)가 해당 계정에서 인증 마크를 없애는 등 반격에 나선 것이다.


트위터는 지난해 12월 유료화 정책을 내놓으면서 기업 계정은 골드 인증 마크를 받는 데 한 달에 1000달러(약 131만원)를, 개인은 블루 인증을 받는 데 매월 8달러(약 1만원)를 지불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27일에는 앞으로 무료 이용자의 기존 '체크' 인증을 제거하고, 오는 15일부터는 유료 인증 계정만 추천 피드에서 보여주고 설문조사에도 참여할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머스크, 뉴욕타임스에 독설 "설사와도 같아…읽을가치 없어" 일론 머스크의 뉴욕타임스 비난 트윗 [이미지출처=트위터 캡쳐]

NYT는 지난달 30일 트위터의 이런 정책 변경을 소개하는 기사에서 "트위터에서 약 5500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NYT는 공식 계정에 인증 배지를 받기 위해 돈을 지불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뿐만 아니라 뉴스 보도에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소속 기자들의 계정 유료 인증에도 비용을 지원하지 않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는 바로 반응했다. "그렇다면 우리는 그것(인증 마크)을 뗄 것"이라면서 "NYT의 진짜 비극은 그들의 선전이 흥미롭지도 않다는 것이다. 그들의 피드(게시물)는 트위터에 설사와도 같다. 그것은 읽을 만하지 않다(unreadable)"고 트윗을 남겼다.


그는 이날 거듭 트위터에 "NYT는 모든 사람이 '그들의' (신문) 구독료를 지불하도록 강요하는 데 공격적이면서 여기서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위선적"이라고 비난했다.


트위터의 유료화 정책에는 언론사들뿐 아니라 일부 유명인사와 정부 기관도 비판적인 입장을 보인다.


트위터의 체크 표시 제도는 2009년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번 유료화 정책 도입으로 돈만 지불하면 사기꾼 사이트나 가짜 계정이라도 트위터 공식 인증을 받게 된다는 우려가 나왔다.


지난해 11월 트위터가 돈만 내면 인증 표시를 해주는 유료화 전환을 시도했을 때 계정이 사칭되는 피해를 겪은 농구 스타 르브론 제임스는 1일 트위터에 "내가 돈을 내지 않을 테니 블루 체크가 곧 사라질 것 같다"는 글을 올렸다.



소셜플라이의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코트니 스프리처는 "소셜미디어 회사가 ‘파란색 체크’ 표시를 승인하기 전에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지 않는다면, 가짜 계정에 진실성(authenticity)이 부여된다"면서 "사칭 계정들은 실제 계정 팔로워들로부터 돈을 모으고 가짜 뉴스를 퍼뜨린다"고 지적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