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네이버, 언론사에 기술솔루션 공유…"구독 플랫폼 진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네이버, 언론사에 기술솔루션 공유…"구독 플랫폼 진화"
AD

[아시아경제 최유리 기자] 네이버가 언론사 대상으로 미디어 플랫폼 운영에 대한 기술 솔루션 지원에 나선다.


네이버는 17일 ‘미디어 커넥트데이’에서 구독 중심 플랫폼으로 진화한 뉴스 서비스와 상생 가능한 기술 솔루션에 대해 공개했다.


트래픽 분산, 자연어 처리, 콘텐츠 자동화 기술을 비롯, 미디어 플랫폼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들을 축적해왔으며 앞으로 개별 기술 단위와 데이터 등을 지원해 언론사에서 새로운 실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나갈 방침이다.


우선 네이버는 큐레이션 도구인 스마트콘텐츠스튜디오(SCS)에서 생성하는 큐레이션 콘텐츠를 언론사들이 자사 사이트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방식의 뉴스 생산을 돕는 큐레이션 자동화 기술 ‘큐레이션 어시스턴스’ ▲외국어, 한자 등을 한글로 변환하거나 음성변화기술 적용이 가능한 ‘트랜스폼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악성댓글 탐지 기술 ‘클린봇’ 등을 내년 1분기부터 순차적으로 제공한다.


아울러 뉴스 요약, 긍·부정 분석 등 다양한 실험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기반 기술을 공개할 예정이다. 장애 감지 시 알림이 발송될 수 있는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과 통계 데이터의 교차 분석이 가능하도록 분석 리포트도 지원할 계획이다.


이날 미디어 커넥트 데이에서는 ‘언론사 편집’ 서비스 시작 이후 구독 중심 플랫폼으로 변모한 네이버 뉴스의 현황에 대해서도 공개했다.


‘언론사 편집’ 서비스를 시작한 지 약 5년 만에 네이버뉴스 ‘구독’ 서비스 이용자는 2644만명, 1인당 평균 구독 언론사는 7개에 달한다. 100만 이상 구독자를 보유한 매체가 약 70%에 달한다. 10월 기준 기자홈 구독 수 역시 월평균 30만명씩 증가하며 올해 5월 800만명을 돌파했고 연말까지 구독 수 10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개별 기자홈에서 기자들이 직접 큐레이션한 기사를 올 7월부터 MY뉴스 ‘기자 추천 카드’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일 평균 10만 사용자가 이를 통해 흥미로운 뉴스를 소비하고 있다.


네이버는 언론사의 신뢰도 높은 고품질의 기사를 사용자들이 쉽게 만날 수 있도록 채널을 확장할 계획이다. 지난해 7월 선보인 ‘심층기획’ 코너에 주제별 기획 기사를 발행하고 있으며, 10월 기준 약 23만건의 다양한 기사가 소개됐다. 네이버 뉴스는 이후에도 언론사판, 개별 언론사홈 위클리 코너도 오픈을 준비 중이다.



유봉석 네이버 서비스운영총괄은 “파트너사들의 운영 방식, 인력 상황에 맞는 세분화된 형태의 기술,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언론사들과 동반 성장하겠다”라며 ”급변하는 뉴스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보다 많은 이용자가 양질의 기사를 접하고 언론사가 이용자와 적극 소통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