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통일부 "군사적 긴장 고조는 北 책임…대화의 문 열려 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北대사 '이태원 참사' 언급
"인도주의 위배, 강한 유감"

통일부 "군사적 긴장 고조는 北 책임…대화의 문 열려 있다" 통일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장희준 기자] 통일부는 한미일 정상회담을 거쳐 나온 대북억제력 강화 방침을 비난하고 나선 북한을 규탄하며 대화에 나올 것을 촉구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17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최선희 북한 외무상의 한미일 확장억제를 비난하는 담화에 대해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당사자는 한미가 아니라 북한이며 모든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에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북한은 지난 9일 탄도미사일 발사 이후 8일 만에 다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며 "지금 한반도 긴장이 고조된 것은 한미의 확장억제 때문이 아니라 북한이 지속적 핵 개발과 도발을 했기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과 미국 모두 '억제'에 대해서만 말하고 있지는 않다"며 "북한의 위협과 도발을 억제하는 노력과 함께 남북 간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여러 차례 북한에 회담을 제의했다. 이미 제의한 남북회담이 현재 유효함은 물론 한반도 현안에 대한 모든 남북 간 대화는 열려 있다"며 윤석열 정부의 비핵화 로드맵인 '담대한 구상'에 호응할 경우 북한에 구체적인 설명을 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또 "앞으로도 정부는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도발에는 분명하고 단호히 대처하겠지만, 원칙과 일관성을 바탕으로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며 "북한도 위협과 도발이 아닌 대화와 협상의 길로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통일부는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가 북한인권결의안에 반발하는 과정에서 '이태원 참사'를 거론한 것에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이 우리의 국가 애도 기간 중 애도는커녕 무력 도발을 자행한 것도 개탄스럽지만, 인권과 인도주의를 논하는 국제무대에서 이를 정치적 비난의 소재로 이용하는 것은 인도주의 원칙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행위"라며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김성 대사는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총회 제3위원회 회의에서 북한인권결의안에 공동 제안국으로 참여한 한국에 대해 "내치 능력 부족이 원인이 된 인재(人災)인 유례없는 압사 사고를 촉발했다"고 공격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