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초대형 신작·글로벌 스타 개발진 총출동…'지스타 2022' 개막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초대형 신작·글로벌 스타 개발진 총출동…'지스타 2022' 개막
AD

[아시아경제 부산=이승진 기자]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정상 개최되는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22’(이하 지스타)가 17일 막을 올렸다.


이번 지스타에는 세계적인 스타 개발자 다수가 참여하며 역대 최고 연사 라인업을 선보인다. 또 지난해보다 2배 커진 규모로 꾸려지는 데다, 국내 게임사 최고경영자(CEO)들도 직접 신작 소개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외 게이머들의 관심이 집중된다.


지난해 2배 규모…역대 최고 연사 라인업

17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지스타는 ‘The Gaming Universe, 다시 한 번 게임의 세상으로’라는 공식 슬로건과 함께 막을 올렸다. 최근 3년간 지스타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정상 개최 되지 못했다. 3년 만에 정상 개최 되는 올해 지스타는 43개국, 987개사, 총 2947부스로 지난해보다 2배 이상 규모로 확대됐다.


올해 지스타 콘퍼런스는 역대 최고 연사 라인업으로 평가된다. 총 4개 트랙, 44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1일차 키노트 연설에는 ‘디트로이트 : 비컴 휴먼’ 등을 개발한 퀀틱드림의 데이비트 케이지와 ‘칼리스톨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는 스트라이킹 디스턴스 스튜디오 최고 개발 책임자 스티브 파푸트시스의 강연이 예정돼 있다.


2일차에는 위메이드 장현국 대표와 일본을 대표하는 명작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아버지 캡콤의 츠지모토 료조가 강연자로 확정됐다. 이외에도 코에이,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에피게임즈 등의 개발자와 CEO 등이 연사로 나선다.


이정헌 넥슨코리아 대표, 권영식 넷마블 대표, 조계현 카카오게임즈 대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 등 국내 게임 산업을 이끄는 리더들도 총출동 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대형 신작·글로벌 스타 개발진 총출동…'지스타 2022' 개막 위메이드 지스타 2022 전시관 모습

역대급 흥행 예고…신작 쏟아진다

국내 게임사들은 지스타를 통해 신작을 대거 선보인다.


4년 만에 지스타에 참가하는 넥슨은 ‘귀환’이라는 슬로건과 함께 출품작 9종을 공개했다. 넥슨은 지스타에서 BTC관 단일 최대 규모인 300부스를 운영한다. ‘마비노기 모바일’, ‘퍼스트 디센던트’,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데이브 더 다이버’ 등 출품작 4종을 직접 시연해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던전앤파이터’ 지식재산(IP) 기반 신작 ‘프로젝트 AK’와 ‘프로젝트 오버킬’, ‘환세취호전 온라인’, ‘갓썸: 클래시 오브 갓’, 액션 ‘나이트 워커’ 등 신작 5종의 신규 트레일러 영상도 선보인다.


넷마블은 지스타에서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아스달 연대기’, ‘파라곤: 디 오버프라임’, ‘하이프스쿼드’ 등 신작 4종을 출품한다. 넷마블은 100부스 규모의 전시관을 운영하며, 160여대의 시연대와 오픈형 무대로 꾸민다.


메인 스폰서인 위메이드는 ‘나이트 크로우’, ‘레전드 오브 이미르’ 등 신작을 올해 지스타에서 선보인다. 또 대체불가토큰(NFT) 플랫폼 나일, 라이프앱 탱글드 및 스니커즈, 메타버스 플랫폼 베이글 등 위믹스 생태계를 경험할 수 있는 체험형 콘텐츠도 있다.


카카오게임즈는 ‘아레스: 라이즈 오브 가디언즈’, ‘가디스 오더’, ‘디스테라’ 등을 소개한다. 자회사 엑스엘게임즈의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해 만들고 있는 ‘아키에이지 워’와 ‘아키에이지2’의 신규 영상도 추가로 공개한다.


크래프톤은 ‘칼리스토 프로토콜’, ‘문브레이커’, ‘디펜스 더비’ 등을 공개한다. 다음 달 글로벌 출시를 앞두고 있는 칼리스토 프로토콜의 경우 관람객들이 직접 플레이할 수 있는 별도 시연대를 마련한다.


네오위즈는 유럽 최대 게임쇼 ‘게임스컴2022’에서 3관왕을 차지하는 등 글로벌 게임쇼에서 호평받은 ‘P의 거짓’을 선보인다.

초대형 신작·글로벌 스타 개발진 총출동…'지스타 2022' 개막 지스타 2019 푸드트럭존

참관객 안전 최우선

지스타는 참관객 밀집도를 시작 단계부터 관리하기 위해 온라인 사전 예매자들의 입장과 현장 티켓 구매 시간을 구분한다. 입장권 교환처에서 이동에 문제가 없도록 교환처와 벡스코 사이 도로를 행사 기간 통제한다. 더불어 전시장별로 입장 대기 공간이 확보돼 있으며, 전시장 내부에도 밀집도에 따라 입장을 조정하고 현장 티켓 판매 역시 이에 맞춰 유기적으로 진행된다.



병목 현상 예상 지점, 그리고 취약지점(에스컬레이터, 계단 등)에는 모두 안전 및 현장 요원이 배치되며, 경찰서와 소방서 등 유관기관의 협조 아래 안전기준을 준수할 예정이다. 코로나19로 중단된 부대행사는 재개된다. 야외전시 부스와 푸드트럭존이 다시 운영되며, 전시장 내외부 인원 분산의 목적으로 야외 부대행사인 지스타 웜업 스테이지(아케이드 게임존, 포토이벤트존, 포토월 등)가 운영된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