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백화점은 웃고 동네슈퍼는 울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올 들어 9월까지 백화점 판매액,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6.4% 늘어
편의점 판매액도 9.9% 증가 … 동네슈퍼는 0.4% 증가에 그쳐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백화점은 웃고 동네슈퍼는 울고 지난 9월 서울 시내 백화점에서 시민들이 쇼핑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문화영 인턴기자]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올해 백화점 매출은 많이 늘어났지만, 동네 슈퍼마켓은 제자리걸음인것으로 나타났다.


9일 통계청과 중소벤처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 들어 9월까지 국내 소매 판매액은 408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4% 늘었다. 이 가운데 백화점 판매액이 27조6000억원으로 16.4%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백화점 판매액 증가율은 지난해 연간 22.9%였는데 올해도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프랜차이즈 형태로 운영되는 편의점 판매액은 23조2000억원으로 9.9% 늘었다. 지난해 편의점 판매액 증가율은 7.2%였다. 이와 달리 소기업·소상공인이 주로 운영하는 슈퍼마켓 판매액은 34조6000억원으로 0.4% 증가에 머물렀다. 슈퍼마켓 및 잡화점 판매액 증가율은 지난해 -2.2%를 기록했다가 올해는 플러스로 돌아섰지만 겨우 소수점 한 자릿수 성장에 그친 것이다.


이처럼 동네 골목상권까지 온기가 퍼지진 않았다. 백화점의 경우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한 데다, 명품 수요가 탄탄하고 MZ세대에게 인기있는 디자이너 브랜드 덕에 마진율이 높은 패션 카테고리가 강세를 보였다. 와인·위스키 등 고가 주류도 젊은층 사이에서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수요가 늘었다. 여기에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난 덕도 봤다.


신세계의 1~9월 매출은 5조5987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7.8% 늘었다. 영업이익은 5040억원으로 56.4% 증가했다. 현대백화점도 같은 기간 매출 3조4317억원으로 38.8%, 영업이익은 2523억원으로 48.3% 증가했다.


편의점도 코로나19 사태 후 야외활동이 활발해지고 이용객이 늘어났다. 고물가 시대에 가성비 높은 도시락 등 편의점 장점이 부각됐고 객단가가 낮은 특성상 물가 상승에도 영향을 덜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동네 슈퍼마켓은 이런 효과를 누리지 못했다. 편의점과 이커머스 업체의 성장으로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면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고물가 시대에 대형마트와의 가격 경쟁에도 밀릴 수밖에 없다. 더구나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와 이에 따른 소비 위축도 고민거리다.



9월 전체 소매판매액은 44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5.5% 증가에 그쳤다. 증가율은 2월(5.3%) 이후가장 낮은 것으로 전월보다는 4.2%포인트나 내렸다. 특히슈퍼마켓 및 잡화점 판매액은 4조4000억원으로 4.4% 줄어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백화점 판매액 증가율도 8월 19.0%에서 9월 6.2%로 둔화됐다. 편의점의 경우11.8%에서 8.9% 증가로 줄었다.




문화영 인턴기자 ud366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