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T클라우드, '서버리스 코드·앱 런' 출시…개발자 일손 덜어준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KT클라우드, '서버리스 코드·앱 런' 출시…개발자 일손 덜어준다 KT클라우드 직원들이 ‘서버리스 코드·앱 런’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KT클라우드
AD

[아시아경제 오수연 기자] KT클라우드는 프로그램·서비스 개발 후 배포, 인프라 관리까지 하나의 서비스형으로 제공해 개발자는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는 ‘서버리스 코드·앱 런(Serverless Code·App Run)’을 출시했다고 9일 밝혔다.


개발과 배포·관리를 위해 각각 존재하는 서비스형 함수(FaaS)와 서비스형 백엔드(BaaS)를 통합해 하나의 서비스로 출시한 것은 업계 최초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FaaS는 프로그램 개발 시 복잡한 하부구조 구축이나 유지보수 환경을 직접 만들지 않고, 제공되는 함수를 활용해 간편히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 서비스다. BaaS는 프로그램 배포와 배포 후 공통적인 서버 관리 기능을 표준화해 데이터 저장·분석, 트래픽·사용자 관리 등 관리 영역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동안 개발사들은 서버 등 물리적 환경을 구축한 후, 서비스 개발·배포 및 인프라 운용·관리까지 직접 수행함으로써 구축 시간·비용과 관리에 대한 부담이 컸다. 또 구축형이 아닌 클라우드를 이용하더라도 개발 서비스(FaaS)와 배포·관리 서비스(BaaS)를 각각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 개발자들이 관리에 가담하거나 별도 관리 인력을 두는 등 부담이 여전히 존재했다.


‘서버리스 코드·앱 런’은 개발자가 플랫폼에서 프로그램을 개발 후 제공만 하면, 배포, 모니터링·로그, 트래픽 등 다양한 인프라 관리 업무를 KT클라우드가 대신 수행하기 때문에 관리 부담이 전혀 없다. 서버 없이 개발·배포·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과 기능을 하나의 서비스로 제공해 개발사의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개발자의 업무 효율과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서버리스 코드·앱 런’의 강점으로는 ▲컨테이너 격리를 통한 보안성 강화, ▲통합 UI·UX 및 관리 편의성, ▲ 비용 효율성을 꼽을 수 있다. 컨테이너 보안 침해 방어를 위해 경량화 VM(Virtual Machine) 기반의 ‘컨테이너 격리’ 기술을 적용해 안전성을 높였다. 또 컨테이너에 접근하는 URL도 인증 여부 선택, 토큰 재생성 등을 통해 보안을 강화했다.


이 외에도 ‘코드 런’과 ’앱 런’은 동일한 UI·UX를 적용해 개발, 배포, 모니터링, 보안 관리 등 기능을 원 뷰(One view)로 제공하며, 필요한 데이터를 시각화해 업무 편의성을 높였다. 게다가 애플리케이션 버전에 대한 트래픽을 사용자가 관리할 필요 없이 이용 고객 수·사용량에 따라 유동적으로 컨테이너 수를 조절하고, 불필요한 컨테이너를 종료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KT클라우드는 ‘서버리스 코드·앱 런’ 출시를 기념해 3개월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한다.



남충범 클라우드본부장은 “‘서버리스 코드·앱 런’은 개발부터 배포, 관리 기능을 통합해 최적의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최초의 서비스”라며 “개발 환경에서 서버리스는 기존 대비 혁신적으로 진화한 서비스 형태이다. 저비용 고효율로 개발·관리가 가능해 중·소 벤처기업뿐만 아니라 대기업의 업무 효율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