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통위원 "통화완화 축소 지속적 추진 필요…물가·임금 영향 주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상당수 위원 추가 금리인상 지지

금통위원 "통화완화 축소 지속적 추진 필요…물가·임금 영향 주목"
AD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지난달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연 1.50%로 인상한 가운데 향후에도 완화 정도 축소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다수 나왔다.


한은이 3일 오후 홈페이지에 공개한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지난달 14일 열린 통화정책 방향 회의에서 상당수 위원이 국내경제의 성장, 물가와 금융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꾸준히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냈다.


한 위원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물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온 원자재가격 상승과 글로벌 공급차질의 영향이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증대됨에 따라 향후 물가흐름은 2월 전망경로를 큰 폭 상회할 것"이라며 "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 간의 상호작용으로 이어지는 2차 효과가 본격화될 가능성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임금 상승압력이 확대되고 물가 오름세가 원자재에서 최종재, 서비스가격 등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는 점은 이런 우려가 어느 정도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이 수입물가를 통해 국내물가의 추가적인 상승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는 점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금리 추가 조정 시기에 대해서는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움직임,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영향 등 불확실성 요인들의 전개 양상을 주의깊게 살피되 상황에 큰 변화가 없다면 물가 기대심리 안정에 최우선을 두고 완화 정도 축소를 선제적으로 일관되게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또 다른 위원도 "최근 실질금리가 빠르게 하락하면서 중립금리와의 괴리폭이 커진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도 통화정책은 완화기조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향후 추가 금리인상의 시점과 속도는 경제와 금융 상황의 전개양상을 봐가며 결정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대내외적으로 경기 하방위험과 물가 상방위험이 동시에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 고민스럽기는 하지만, 잠재성장률을 상회하는 성장 흐름이 기조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통화정책 기조를 중립적인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한 노력을 지속함으로써 기대인플레이션을 안정화하고 금융불균형 누증위험을 제한하는 것이 중장기적 시계에서의 정책 목적에 부합하는 선택"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위원도 "기준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점차 감염병 대확산이 진정되고 방역조치가 완화되면서 경기회복 모멘텀을 제약하는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추가 인상을 지지했다.


특히 상당수 위원들은 물가상승이 임금상승으로 이어지는 2차 효과에 주목했다. 한 위원은 "일부 산업에서의 임금 상승세가 가속화되는 모습이 관찰되고 있어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을 통한 임금-물가간 전가효과가 이미 시작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또 다른 위원도 "지난해 높은 정액급여 기여도가 점차 높아지고 임금 상승세가 여러 산업으로 확산되고 있다"면서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기대인플레이션, 빈일자리율 등과 노동시장의 슬랙을 보여주는 고용률, 실업수당 청구건수, 근로시간 등의 지표 대부분이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는데 이는 실물경제의 회복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임금상승으로 이어져 개인서비스 등 일부 품목에서 추가적인 물가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