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세' 비대면 진료…상시·장기관리 장점 살려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2년만에 누적 진료 352만건
보건의료계 부정적 입장에도
오미크론 변이로 가파른 성장
병·의원, 진료 플랫폼 잇단 합류
고혈압·당뇨·감염병 등 질환
지속관리 이점…제도화 검토

'대세' 비대면 진료…상시·장기관리 장점 살려야 비대면 진료 자료사진.
AD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시범 적용해온 ‘비대면 진료’가 정식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는 원칙적으로 비대면 진료 도입에 반대하고 있지만, 이미 오미크론 변이 재택치료 등으로 의료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크게 높아진 데다 비대면 진료에 참여하는 병·의원들도 많아진 만큼 정식 도입 자체는 확정적인 분위기다. 쟁점은 ‘허용 범위’다. 비대면 진료의 진료 수준을 어디까지 용인할 것인지를 두고 정부와 의료계,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계 등 이해 관계자들의 합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비대면 진료 "이미 대세"

그간 비대면 진료의 불모지와 다름없었던 국내 의료시장에서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하기 시작한 2020년 2월 처음으로 한시적 비대면 진료가 허용됐다. 격리 상황에서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이후 비대면 진료 시장은 가파르게 성장했다. 도입 첫 달 2만4727건에 그쳤던 비대면 진료 건수는 1년 뒤인 지난해 1월까지 누적 159만2651건으로 폭발적으로 늘었고, 올해 1월까지 누적 352만3451건을 기록했다.


특히 올해 2월 오미크론 변이의 대유행으로 재택치료를 원칙으로 한 새로운 방역체계가 도입된 이후 비대면 진료는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증가했다. 비대면 진료 플랫폼 ‘닥터나우’의 경우 2월 한 달 이용자만 90만명을 넘었고, 3월에는 주간 활성 이용자 수(WAU)가 100만명을 돌파했다. ‘닥터콜’은 1월 대비 3월 이용자가 293% 늘었고, ‘솔닥’은 같은 기간 처방건수가 317% 증가했다. 특히 ‘나만의닥터’는 700%, ‘올라케어’는 2000% 넘는 이용자 증가율을 보였다.


'대세' 비대면 진료…상시·장기관리 장점 살려야

보건의약계는 줄곧 비대면 진료 도입에 부정적 입장을 견지해왔다. 국회에서 비대면 진료를 허용하는 내용의 의료법 개정안이 잇달아 발의되자 대한의사협회·대한치과의사협회·대한약사회는 지난해 10월 공동 성명을 내고 "환자 대면 원칙의 훼손은 국민 건강에 커다란 위해를 초래할 것"이라며 반발했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 유행 이후에는 비대면 진료의 확대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는 분위기가 읽힌다. 비대면 진료 플랫폼에 합류하는 병·의원이 늘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방증한다. 한 플랫폼의 경우 올해 초까지 제휴 의료기관이 360여곳이었는데, 3월 말 기준 900여곳까지 증가했다. 일부 상급종합병원이 비대면 진료 플랫폼에 가세하기도 했다.


만성질환 중심 비대면 허용될 듯

비대면 진료 입법화를 앞두고 쟁점은 비대면 진료를 어디까지 허용하느냐다.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계에서도 비대면 진료는 어디까지나 보조적 수단이라는 데에는 공감을 이루고 있다. 김수만 닥터콜 TF 팀장은 "비대면 진료 서비스의 본질은 현재 대면 진료가 가지는 의료 공백을 보완해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있다"고 말했다. 비대면 진료 서비스가 환자의 건강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개원의 출신인 이호익 솔닥 대표는 "비대면 진료가 오히려 치료 효용성을 높이는 경우가 있다"며 "의료 소비자가 주체적으로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됐고, 이에 따라 고객의 경험이나 약물 관리가 개선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의 경우 비대면 진료의 수요가 많은 편이다. 꾸준한 약 처방이 필요한 질병인 만큼 매번 병원을 찾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고, 의료기기를 이용해 측정 등을 보완할 수 있어서다. 2020년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비대면 진료 상위 5개 질병을 보면 1위가 고혈압(64만4109건), 2위가 당뇨병(34만845건), 3위가 이상지질혈증(13만3675건)으로 장기간 관리를 요하는 질병이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 우선 꾸준한 약 처방과 진료가 필요한 만성질환이나 감염병으로 대면 진료가 제한되는 상황 등에서 비대면 진료를 허용하는 방안이 먼저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건복지부는 "의료계, 시민사회 등과 협의해 보건의료 정책적 관점에서 제도화 방안 마련 등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