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리 0.25%포인트↑…코로나 이전 회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은, 年 1.50%로 돌아가
총재 부재에도 인플레 부담
5월 美 빅스텝도 인상 영향

금리 0.25%포인트↑…코로나 이전 회귀
AD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한국은행이 총재 공석 상태에서도 지난 1월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기준금리를 올리며 통화긴축 고삐를 조였다. 이에 기준금리는 2019년 7월 코로나 이전 수준인 연 1.50%에 되돌림 됐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4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1.50%로 0.25%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앞서 금통위는 2020년 3월17일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 침체가 예상되자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낮추고 같은 해 5월28일 추가 인하를 통해 2개월 만에 0.75%포인트나 금리를 내린 바 있다.


이후 아홉 번의 동결을 거쳐 지난해 8월26일 15개월 만에 0.25%포인트를 인상하며 '통화정책 정상화'를 알렸다. 기준금리는 이후 같은 해 11월과 올해 1월, 이날까지 약 8개월 사이 0.25%포인트씩 네 차례, 총 1.00%포인트 올랐다.


이날 금통위가 총재 부재라는 초유의 상황 속에서도 추가 인상을 전격적으로 결정한 것은 최근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이 방치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4.1%나 뛰었다. 4%대 상승률은 2011년 12월(4.2%) 이후 10년 3개월 만에 처음이다.


문제는 앞으로 물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데 있다. 현 상황에서 큰 반전이 없다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대로 치솟고 경제성장률 전망은 2%대로 내려앉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미 Fed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이르면 5월 한 번에 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할 수 있다는 점도 기준금리인상 요인으로 거론된다.


금통위 의장대행을 맡은 주상영 위원은 "올해 중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3%)를 다소 하회하고 소비자물가는 당분간 4%대의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경제가 회복세를 지속하고 물가가 상당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앞으로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통위는 이날 한은의 금융기관에 대한 여수신이율을 개정해 다음달 2일부터 금융중개지원대출 중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 프로그램의 대출 금리는 연 0.25%로 유지하고 여타 상시 지원 프로그램의 대출 금리는 연 0.25%에서 연 0.50%로 인상하기로 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