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꿩먹고 알먹는 ‘지역화폐’ … 포항사랑상품권, 3년 빅데이터 분석 생산·부가가치 1조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사용자는 할인받고, 업주는 싼 수수료 부담

꿩먹고 알먹는 ‘지역화폐’ … 포항사랑상품권, 3년 빅데이터 분석 생산·부가가치 1조원 포항시청.
AD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사용자는 할인받아 좋고 업주는 신용카드보다 수수료가 싸서 환영하는 ‘지역화폐’를 분석한 흥미로운 자료가 나왔다.


포항시는 지역화폐 ‘포항사랑상품권’의 최근 3년간 빅데이터 분석을 했다.


포항시에 따르면 생산유발효과 7619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3045억 원 등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


포항시는 지역화폐 소비자의 이용 현황과 소비패턴 등 관련 데이터의 과학적이고 다각적인 분석으로 지역화폐 활성화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포항사랑상품권의 지난 3년간(2019~2021) 빅데이터를 추적했다.


포항사랑상품권은 포항시가 소상공인 매출 증가와 지역경제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해 역점 추진한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이다. 2017년 1월 지역금융기관과 판매대행 협약을 체결하고 지류형 1300억원을 순수 시비로 첫 발행했고 올해까지 총 누계발행액은 1조6200억원이다.


빅데이터 분석에서 해당 기간 1조348억원의 누적 결제금액이 발생했다. 그중 2020년 9월 출시해 유통 기간이 짧은 카드형의 결제금액은 약 950억원(9.2%)이며, 지류형(종이형) 결제금액은 10배에 해당하는 9498억원(90.8%)로 나타났다.


이 지역화폐의 경제적 효과 분석을 위해 한국은행 포항본부에서 제공하는 지역산업연관표를 기반으로 투입산출(IO)분석으로 진행했다.


포항시 29개 지역의 지역화폐 최종 수요는 도소매와 상품중개서비스에 사용됐고 식료품, 음식점 및 숙박 서비스, 의료 및 보건에서 주로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사용액 규모(지류형+카드형)를 근거로 분석된 29개 지역에 대한 생산유발효과는 총 7691억원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권에 의한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총 3045억원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됐다.


생산유발효과가 큰 지역에서 부가가치 유발효과 역시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포항시 지역화폐 누적 결제액은 경북도내 다른 지자체에 비해 20배나 높으며, 주요 연령층도 청년층(2030대)의 소비 비율이 타 지자체에 비해 높게 나타나 활성화 정도가 높은 것으로 풀이됐다.


또 죽도시장 도소매를 주축으로 대규모 가맹점 확보와 원활한 유통으로 지류형 상품권이 전국 최대 규모로 성장했고, 시민요구가 반영돼 구매선택권과 이용 편의성을 높인 ‘포항사랑카드’ 등장과 함께 국민지원금을 지급했다.


또 각종 정책수당 지원 등으로 자연스럽게 생활 속으로 스며들어 시민의 지갑 속으로 정착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돋보였다.


올해 포항시의 지역화폐 활성화 시책으로는 지류형+전자형 통합플랫폼구축과 개인한도 월 70만원에서 100만원 상향, 찾아가는 이동모바일뱅크 운영이다. 또 소외 농어촌지역 구매기회 확대, 포항사랑카드 콜서비스 운영, 무인 셀프창구 운영, 삼성페이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 교통카드 기능 탑재 등이 있다.


포항시는 올해 3200억원의 상품권을 발행할 계획이다. 3월 현재 900억원을 판매했고, 포항사랑카드는 매월 120억원 자금 한도 내에서 월 50만원 이내(연 400만원 이내) 개인 충전이 가능하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빅데이터 분석에서 포항사랑상품권의 성공요인과 효과성을 입증하고 향후 더 활성화할 데이터 근거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이고 면밀한 정책 수립을 통해 지역화폐의 사용 가치를 보다 높일 수 있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