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1분기 경제성장률 0.3~0.9%p 하락 예상…통화정책 완화 가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中 1분기 경제성장률 0.3~0.9%p 하락 예상…통화정책 완화 가능"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중국정부가 경기 회복세 둔화 우려에 대응해 투자 확대, 소비 회복 등 내수진작에 주력하면서 중소·영세기업 경영난 완화, 고용안정 등을 위한 정책지원을 더욱 강화할 전망이다.


3일 한국은행 북경사무소는 "중국정부는 경제성장 목표(5.5% 내외) 달성을 위해 인프라투자를 확대하고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부동산규제를 완화하는 한편 소비촉진을 위한 정책지원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또 중소·영세기업에 대한 재정·금융지원을 확대하고 취업난 완화를 위해 고용 최우선정책을 강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3월 제조업 및 비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중국정부의 안정성장을 위한 정책지원 확대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의 대규모 확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전월과 시장예상보다 크게 부진한 것으로 평가됐다. 3월 제조업 PMI는 49.5로 전월(50.2)보다 하락하면서 지난해 10월 이후 5개월만에 기준치(50)를 하회했다.


3월 들어 선전·상하이 등 주요 대도시를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고 허베이성 등 베이징 인근 지역에서도 다수의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중국정부는 지역봉쇄 등 방역조치를 크게 강화했다. 봉쇄지역 기업의 감산과 휴업의 영향이 연관 산업의 생산 및 물류 차질, 수요 감소 등으로 확산되면서 중국경제의 공급충격, 수요위축, 기대약화 등 3중 압력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한은은 "중국내 금융기관들은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1분기 경제성장률이 0.3~0.9%포인트 정도 하락할 것으로 분석했다"면서 "금융시장 일각에서는 중국부가 경제성장 목표 달성을 강조하는 만큼 2분기에 정책금리 인하, 지급준비율 하향 조정 등 통화정책의 추가 완화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