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법인, ‘주택 공급자’ 역할 주춤… 정부 규제 강화에 발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법인, ‘주택 공급자’ 역할 주춤… 정부 규제 강화에 발목
AD


[아시아경제 류태민 기자] 전통적으로 주택 매도자 역할을 해온 법인이 최근 들어 매수자 역할로 돌아서는 모양새다. 정부의 임대사업자 혜택 축소와 법인 등의 주택대출 규제강화 등이 매수포지션 강화에 브레이크를 걸고 있지만 대도시권역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21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이 법인 주택 매매거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법인 주택 매수는 2020년 8만151건으로 2006년 집계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전체 주택거래 건수가 줄며 6만2241건으로 감소했지만 예년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치다. 반면 법인의 주택 매도는 2020년 8만4569건, 2021년 7만848건을 기록하면서 매도 증가추세가 멈췄다.


법인의 주택 순매도(매도-매수)는 2011년 10만4792건까지 증가한 이후 빠르게 감소추세를 보였다. 2019년 -6355건으로 매도와 매수가 역전되기도 했으나, 2020년부터 다시 매도가 매수보다 많아지면서 2020년 4418건, 2021년 8607건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예년에 비해서는 순매도가 감소하며 주택 거래시장에서 법인의 매물 공급자로서의 역할이 줄어든 모습이다.


법인 거래의 특징을 살펴보면, 2014년까지 아파트 매수비중이 높았으나 2015년~2019년에는 비(非)아파트 매수 비중이 아파트보다 높았다. 거래량이 급증한 2020년 법인의 아파트 매수가 4만2848건으로 비아파트 3만7303건에 비해 많았으나 2021년에는 다시 비아파트 매수(3만3340건)가 아파트 매수(2만8901건)보다 많았다. 2015년부터 법인의 비아파트 선호 현상이 꾸준히 이어졌다.



직방 관계자는 “새 정부의 정책 방향이 민간의 주택임대차시장의 역할 강화 등 민간중심의 시장 형성 기조를 보이고 있다”며 “법인과 임대사업자의 역할론이 부각되고 그에 따른 각종 정책 규제가 완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만 정책적 방향은 법인의 순매수 포지션에 우호적일 수 있지만 금리인상과 인플레이션 상황 등 대외 경제여건에 대한 우려로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류태민 기자 righ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