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2022년 기업 경영 전망 조사' 결과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내년 경영 계획을 수립한 기업 중 투자와 채용을 확대할 계획이 있는 곳은 20%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은 평균 2.7%로 전망해 정부나 주요 기관(3% 수준)보다 보수적으로 봤다. 한국 경제를 제약하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기업 활력을 저하시키는 각종 규제 정책을 꼽았으며 차기 정부에 감세 정책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26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30인 이상 기업 243개사(응답 기준)를 대상으로 '2022년 기업 경영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에서다. 응답 기업의 64.6%는 내년 경영 계획 '최종안을 확정(11.1%)'했거나 '초안을 수립했다(53.5%)'고 했다. 반면 나머지 기업은 초안도 수립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내년 경영 계획을 세운 기업은 경영 기조를 주로 현상유지(53.5)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확대경영(23.6%)과 긴축경영(22.9%)은 비슷한 응답률을 보였다. 특히 긴축경영을 택한 기업의 구체적인 추진 계획에서는 원가 절감(80.6%)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경총은 최근 불거진 공급망 쇼크, 원자재 가격 급등, 임금 인상과 같은 이슈로 대다수 기업이 원가 절감을 긴축경영의 최우순 과제로 꼽은 것으로 풀이했다.
경영 계획을 수립한 기업을 대상으로 내년 투자 및 채용 계획을 물은 결과, 금년 수준이라는 응답률이 53.5(투자)%와 63.7%(채용)로 가장 높았다. 반면 올해 대비 투자나 채용을 확대하겠다는 기업은 4분의 1수준에 불과했다. 이승용 경총 경제조사본부 경제분석팀장은 내년 투자 및 채용 계획을 금년 수준으로 응답한 기업이 많은 것에 대해 "올해 4% 수준의 경제 성장을 경기 회복의 신호보다는 2020년 역성장(-0.9%)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한 반등으로 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응답 기업들은 내년 우리 경제 성장률을 평균 2.7%로 전망했다. 이는 최근 국내외 주요 기관이 예상한 내년 경제 성장률 3% 수준에 비해서는 다소 낮은 수치다. 경총은 최근 오미크론 확산과 함께 공급망 불안 지속,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 같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기업들의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했다.
향후 디지털 전환(ICT 기반 무인·자동화, 무점포 영업 등)에 따른 전반적인 인력 수요 변화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27.8%가 '무인·자동화 등으로 인력 수요 감소가 예상된다'고 답했다. 특히 이러한 응답은 300인 이상 기업에서 31.6%(300인 미만 기업 26.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61.8%는 '디지털 전환이 발생해도 증감 요인이 상쇄돼 인력 수요는 현재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 봤고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업 영역 및 기회 확대로 인력 수요 증가 예상'을 고른 기업은 10.4%에 불과했다.
응답 기업들은 내년 근로자(노조) 임금 등 처우 개선과 관련해 높은 임금 인상(39.7%), 성과평가 기준 개선 등 보상의 공정성·합리성 확보(38.4%) 등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높은 임금 인상 요구는 기업 실적 향상(11.5%) 때문보다는 근로자(노조)의 관성적 요구(42.7%)와 최저임금 인상(39.6%) 등에 주로 기인한다고 생각했다. 이 팀장은 "이는 임금 인상률 결정의 중요한 기준이 기업의 실적 기반이어야 함에도 기업 현장에서는 주로 실적 외적인 요인에 의해 임금 인상 요구가 이뤄지는 현실을 반영한다"고 전했다.
응답 기업의 39.1%는 우리 경제를 제약하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기업 활력을 저하시키는 각종 규제적 정책(39.1%)을 지적했다. 이어 저출산·고령화, 양극화 심화 같은 사회·구조적 문제(25.1%),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와 신성장동력 부재(19.3%), 높은 세율, 반기업 정서 만연 등으로 인한 기업가 정신 위축(15.2%) 순이었다.
차기 정부의 세제 정책 방향에 대해 54.5%가 '경제 활성화, 국민 부담 경감 등을 위한 감세 정책'이라고 응답해 우리나라의 높은 세 부담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증세·감세 논의보다는 비과세·감면 축소, 면세점 조정과 같은 세제 합리화가 더 시급하다 응답은 33.5%였다. 복지 재원 확충 등을 위한 증세 정책을 꼽은 비율은 12.0%에 불과했다. 기업의 투자 촉진을 위해 차기 정부가 우선순위를 둬야 하는 정책으로는 규제 혁신(49.4%), 기업 세제 환경 개선(44.4%), 노동 분야 개혁(41.6%) 등을 꼽았다.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