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긴축 방향 튼 중앙은행들…오미크론 딜레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긴축 방향 튼 중앙은행들…오미크론 딜레마
AD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지난주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규모를 월 150억달러에서 300억달러로 확대하면서 전 세계 중앙은행의 긴축 행보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가 변수로 남아 있어 향후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일단 오미크론 변이의 증상이 기존 델타 변이에 비해 약하다는 초기 분석 결과가 나오면서 중앙은행이 긴축으로 방향을 틀었지만 향후 오미크론 충격이 생각보다 커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오미크론 변이 증상이 약함에도 불구하고 유럽을 중심으로 봉쇄 조치를 재도입하는 국가들은 빠르게 늘고 있다.


Fed가 테이퍼링 규모를 확대하면서 지난주 많은 국가들이 기준금리를 올렸다. 영국은 기준금리를 0.10%에서 0.25%로 올리면서 주요 7개국(G7) 중 가장 먼저 코로나19 팬데믹 뒤 기준금리를 올린 국가가 됐다. 그 외 러시아(1%P), 노르웨이(0.25%P), 칠레(1.25%P), 멕시코, 콜롬비아(이상 0.5%P) 헝가리(0.3%P)가 기준금리를 올렸다.


영국은 당초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비상사태까지 선포된 상황이어서 기준금리 동결이 예상됐다. 하지만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의 선택은 의외로 인상이었다. 오미크론 변이의 위험을 크게 보지 않았다는 의미다. BOE는 의사록에서 "지난해 3월 이후 경험으로 미뤄 볼 때, 코로나 변이 충격이 거듭되고 있지만 국내총생산(GDP)에 미치는 영향은 줄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오미크론 변이가 인플레이션을 장기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중앙은행이 통화정책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긴축 방향 튼 중앙은행들…오미크론 딜레마 [사진 제공= AFP연합뉴스]


BOE와 달리 유럽중앙은행(ECB)은 통화정책에 변화를 주지 않았다. 양적완화 정책을 내년 3월 종료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는 애초 계획된 일정 그대로였다.


크리스린 라가르드 ECB 총재는 통화정책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중 어느 쪽으로 더 큰 영향을 미칠지는 여전히 매우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오미크론 변이가 물가를 끌어올리기보다 되레 소비를 위축시켜 경제 전반의 침체를 가져와 물가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ECB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2.6%에서 내년 3.2%로 오르겠지만 2023년과 2024년에는 1.8%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2023년에는 물가 상승률이 다시 ECB의 통화정책 목표치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장기적인 인플레이션을 예상한 Fed의 전망과 차이가 있다. Fed는 지난주 공개한 경제전망치에서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상승률이 내년 2.7%를 기록한 뒤 2023년과 2024년에도 각각 2.3%, 2.1%를 기록해 통화정책 목표치인 2%를 웃돌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때문에 Fed와 ECB의 내년 기준금리 인상 전망도 엇갈리고 있다. Fed는 내년 3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했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사람들은 코로나19와 함께 살아가는 것을 배우고 있다"며 "더 많은 사람들이 백신을 맞을수록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덜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라가르드 ECB 총재는 내년에 기준금리 인상 요건이 충족될 지 알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19일(현지시간) 오미크론 변이가 맹위를 떨치면서 미국이 힘든 겨울을 맞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지난 2년 동안 경험에서 우리가 파악한 한 가지는 이 바이러스는 정말로 예측 불가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