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법 리스크 벗은 조용병…다른 금융사 영향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1심 뒤집고 무죄…임기 유지 무리 없어
비슷한 혐의 함영주 부회장 판결도 관심

사법 리스크 벗은 조용병…다른 금융사 영향은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2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항소심 선고 공판을 마친 뒤 나오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나오면서,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부회장 재판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세세한 부분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채용 비리 혐의라는 큰 줄기는 일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에서는 함 부회장의 경우도 조 회장과 비슷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조심스러운 예측이 나온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형사6-3부(부장판사 조은래)는 전날 업무방해와 남녀고용평등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조 회장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1심을 뒤집은 것이다.


조 회장은 신한은행장 시절 은행 임원 등의 자녀 부정 채용에 관여한 의혹으로 재판을 받아 왔다. 조 회장과 함께 기소됐던 다른 인사 담당자들도 감형돼 벌금형이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이날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게 되면서, 조 회장은 사법적 리스크를 거의 해소했다. 금융회사 지배구조법과 신한금융 지배구조 내부규범에 따르면 집행유예를 포함해 금고 이상의 형을 확정 짓는 경우 향후 5년간 경영진 자격에서 배제된다. 하지만 조 회장이 무죄를 선고 받으면서 2023년 3월로 예정된 기존 임기를 무리 없이 유지할 전망이다.


조 회장의 대한 무죄 판결은 채용비리 의혹을 받고 있는 다른 금융사들에도 적잖은 여파를 미칠 전망이다. 하나금융지주가 대표적이다. 함 부회장은 하나은행장 시절 채용 청탁을 받아 채용하고 남녀 성비를 조정했다는 조 회장과 유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조 회장은 1심에서 일부 유죄로 선고받을 당시에도 채용 성차별은 무죄로 판단 받았다. 특히 검찰이 조 회장과 함 부회장에 대해 기소한 혐의가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와 남녀고용평등법 위반 등 똑같은 만큼 법원이 같은 잣대를 들이댄다면 판결도 비슷하게 나올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내년 예정된 함 부회장의 1심 재판에서 법원이 어떤 판단을 내릴지는 아직 알수 없다. 먼저 검찰의 구형이 어느 정도로 이뤄질지가 관건이다. 다만 금융권에서는 검찰이 특정하는 혐의 자체가 조 회장과 함 부회장 사건이 크게 다르지 않은 만큼 구형 자체도 비슷한 수준에서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만약 함 부회장의 무죄 판단 가능성이 높아진다면, 내년 예정된 하나금융 회장 선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조 회장의 사례를 봤을 때 함 부회장도 내년 1심 재판에서 무죄 선고가 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이번 조 회장의 재판결과에 따라 함 부회장도 어느정도 부담을 덜어낸 상황"이라고 말했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