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철강업계 "탄소중립 위한 정부 기금 필요…배출권 거래제 개선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대한상의, 제7차 미래산업포럼 개최
철강산업의 '디지털 전환·탄소 중립' 추진실태 점검

철강업계 "탄소중립 위한 정부 기금 필요…배출권 거래제 개선해야"
AD


[아시아경제 황윤주 기자] 철강산업이 정부가 발표한 시나리오에 따라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조기확보, 정책기금 조성 등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제7차 미래산업포럼'을 개최하고 최근 글로벌 공급망 불안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철강산업의 탄소중립과 디지털 전환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철강산업 탄소중립의 현실적인 어려움이 먼저 언급됐다. 포럼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는 "철강산업 탄소중립의 핵심과제인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개발하고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에만 수십조 원이 소요될 것"이라며 "국내 철강산업은 최근 수익구조가 악화되면서 투자여력이 크게 줄어든 상태"라고 말했다. 정부 차원의 대책이 절실하다는 뜻이다.

탄소중립 단계적 전략 마련해야…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 오래 걸릴 것
철강업계 "탄소중립 위한 정부 기금 필요…배출권 거래제 개선해야"


탄소중립 전략은 단기와 중장기로 구분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철강산업은 유연탄과 전력 사용 비중이 높아 대표적인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으로 꼽힌다.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은 2019년 기준으로 1억 1700만t으로 국가 전체 배출의 16.7%, 산업 부분의 30.0%를 차지하고 있다. 향후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에 획기적인 진전이 없다면 추가적인 감축 여력이 크지 않은 상황이다.


정은미 산업연구원 본부장은 단기적으로는 석탄기반 제철공정 효율화와 전기로(Electric Furnance) 확대에 집중하고, 장기적으로는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과 사용화를 앞당겨 수소기반 제철공정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단기 전략은 기업 스스로 가능하지만 중장기 전략은 정부 지원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정 본부장은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철강업계도 적극적인 기술개발과 과감한 투자에 나서야 하지만, 향후 예상되는 대규모 투자와 리스크를 감안하면 정부에서 적극적인 세제혜택과 금융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철강업계 "탄소중립 위해 정부 기금 조성해야…배출권거래제 개선도 필요"

또 철강산업이 디지털·친환경으로 산업구조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신소재 분야 R&D 투자 확대, 전문인력 양성, 전후방산업 활성화 등에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는 의미이다. 이 밖에도 장 교수는 철강 원부재료에 부과되는 기본관세를 경쟁국인 중국이나 일본처럼 무관세로 해줄 것을 요청하는 한편, 수소환원제철 등 국가차원의 기술개발에 대해서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철강업계도 ▲탄소중립 기금조성 ▲신성장 원천기술 세액공제 확대 ▲배출권거래제 개선 등을 건의했다.


변영만 한국철강협회 상근부회장은 "철강업종은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95% 감축하는 도전적인 계획을 수립했다"며 "해외 주요국의 경우 이미 산업계의 탄소중립 지원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활발한 기금조성, 세제 지원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도 정책기금 확대, 신규 지원 제도 도입, 세제 및 배출권거래제도 개선 등을 적극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준형 포스코경영연구원 원장은 "친환경에 대한 철강산업의 대응이 큰 과제임은 분명하지만 동시에 신소재 개발도 소홀히 할 수 없다"며 "미래차나 미래선박 등에 향후 고성능의 철강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 분야에 대한 기업의 혁신과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