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스모킹 건’ 나온 고발사주..실체 규명 가까워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대장동 블랙홀 묻혀있던
고발사주 녹취록으로
실체 규명 가까워져
화천대유 의혹도
'초과이익 환수조항' 관건

‘스모킹 건’ 나온 고발사주..실체 규명 가까워져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고발 사주 논란과 대장동 특혜 의혹이 각각 ‘스모킹 건(결정적 증거)’이 될 녹취록과 검토보고서 등장으로 실체 규명에 한발짝 더 다가서게 됐다. ‘대장동 블랙홀’에 묻혀 있었던 고발 사주 이슈는 녹취록 복원으로 구체적인 물증이 확보됐다. 대장동 특혜 의혹 역시 ‘초과이익 환수 조항’ 삭제 정황이 알려지면서 새 국면을 맞았다.


8일 고발사주 제보자 조성은 씨는 라디오에 나와 "(녹취파일 복원을) 다행스럽게 생각된다"면서 "수사가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선택을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고위공직자수사처(공수처)는 복원된 녹취파일에서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우리가 고발장을 써서 보내줄테니 남부지검에 접수시키는 게 좋겠다’는 발언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발장의 ‘작성→전달→실행’의 연결고리가 수사로 확인된 만큼 여권은 공세수위를 높이고 있다. 송영길 민주당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웅 국민의힘 (당시) 국회의원 후보자와 손준성 전 대검 수사정보정책관과의 연합이라는 뜻으로 검찰국힘연합체가 존재했다는 것"이라고 의미부여했다.


다만 법조계에선 김 의원과 김 의원에게 고발장을 전달한 인물로 지목된 손 전 정책관에 대한 처벌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다. 부장검사 출신 한 변호사는 "언론에 보도된 의혹이 전부 사실이라고 해도, 김 의원에게 어떤 혐의 적용이 가능한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고 했다. 김 의원의 경우 당시 검사 신분 아니여서 직권남용이나 공직선거법 위반(공무원 등의 선거관여) 혐의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편 이 지사의 ‘대장동 특혜 의혹’도 초과이익 환수조항 삭제 정황이 밝혀지면서 사건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의혹은 유동규 당시 공사기획본부장이 대가를 받고 이를 묵살했는지가 관건이 됐다. 이 지사의 인지 여부도 쟁점이다. 국민의힘은 이날 국회 본관에서 ‘대장동 게이트 특검추진 천막투쟁본부’ 출정식을 열고 특검 도입을 촉구하는 등 비판 수위를 높였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