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30 빚 경고등]갚을 능력없는데…불나방 '빚투·영끌' 부실 뇌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2030 가계부채 심각…역대 최대 가계부채 절반 해당
상환능력 떨어지는 청년층, 금리인상과 가상화폐 급락에 부실화 가능성
하반기 한국 금융시장 부실 뇌관 우려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공식화하면서 글로벌 최악 수준인 가계부채 관리에 경고등이 켜졌다. 지난해 가계부채는 1700조원을 육박하며 사상 처음으로 명목 국내총생산(GDP)를 넘어섰다. 가계 빚이 위험수위에 도달했다고 판단한 금융당국이 지난해말부터 옥죄기에 나섰지만 올해 1분기에도 1765조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특히 2030의 과도한 대출은 금리인상·가상화폐 폭락 등과 얽히며 한국 금융시장의 뇌관으로 떠올랐다. MZ(밀레니얼+Z세대)들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빚투(빚내서 투자)로 올인한 집과 주식, 가상화폐 가격이 급락할 경우 한국 경제의 시한폭탄이 될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경고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자그마한 충격에도 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며 가계 부채의 위험성을 지적했다. 아시아경제는 ‘약한 고리’가 된 2030, 중·저신용자들의 가계부채 현황과 문제점, 대안을 제시해본다.



[2030 빚 경고등]갚을 능력없는데…불나방 '빚투·영끌' 부실 뇌관
AD



[2030 빚 경고등]갚을 능력없는데…불나방 '빚투·영끌' 부실 뇌관

[아시아경제 이광호 기자]주식과 코인에 ‘빚투(빚내서 투자)’하고 내집 마련을 위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에 뛰어든 2030세대에 경고등이 켜졌다. ‘벼락거지’를 면하기 위한 2030의 ‘닥출(닥치고 대출)’이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금리 인상과 곤두박질치는 가상화폐 가격에 부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져서다.


빚 갚을 능력이 취약한 2030의 한탕을 노린 빚투가 하반기 본격적인 금리 인상과 맞물려 한국 금융시장의 부실 뇌관이 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12일 한국은행 및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가계부채 규모는 1765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은 100%를 초과했고, 증가 속도는 주요국 가운데 1위다.


특히 2030의 가계 빚 규모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말 30대의 소득 대비 부채비율(LTI)은 전년 대비 23.9%포인트 올랐다. 전 연령별로 가장 큰 상승폭이다. 20대가 23.8%포인트로 뒤를 이었고 ▲40대 13.3%포인트 ▲50대 6.0%포인트 ▲60대 이상 -3.2%포인트 순이다.


신규 대출고객 중에서는 30대 이하 청년층 비중이 과반을 넘는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30대 이하 신규 대출 비중은 2017년 49.5%에서 지난해 9월 58.4%까지 10%포인트 가량 상승했다. 이 기간 신규 가계대출의 청년층 비중도 42.4%에서 55.3%까지 뛰었다.


문제는 빚투와 영끌로 무리하게 끌어쓴 대출이 하반기 갖은 악재로 인해 부실화될 수 있다는 데 있다. 한은이 올해 하반기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하면서 여러 금융사에 빚을 돌려막은 청년층의 이자부담은 급격히 불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불나방처럼 뛰어든 가상화폐도 오는 9월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시행으로 줄폐업이 현실화되면 신용불량자를 대거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030 비중이 절대적인 P2P 대출 역시 8월말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온투법)이 시행되면 ‘먹튀’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점쳐진다. 실제 P2P업계 대형사인 렌딧의 경우 2030 대출 비중이 전체 78.2%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청년층의 상환부담 위험이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고 우려한다. 백종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금리 상승이 본격화하면 대출 상환능력이 떨어지는 청년층의 부실이 확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오는 15일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최고 수위인 4단계로 격상되면서 동결이 유력시된다. 다만, 이주열 한은 총재가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공식화한 만큼 인상 소수의견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