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 수입차 시장서 미국산이 2위…한미FTA 10년 간 교역 확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국 수입차 시장서 미국산이 2위…한미FTA 10년 간 교역 확대"
AD


[아시아경제 이기민 기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된 10년 동안 한국 수입차시장에서 미국계 브랜드가 판매 성장세를 이어가며 지난해에는 판매량 2위로 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한·미 FTA 발효 10년차를 맞아 양국간 자동차 수출입 동향을 분석한 결과 미국차에 대한 한국의 시장 개방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미국과의 자동차 교역이 확대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미국계 브랜드 판매량은 한·미 FTA에 따른 승용차 관세 철폐의 영향 등으로 가격경쟁력이 향상되며 4년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미국계 자동차 브랜드는 한국 수입차시장에서 4만6000대(15.2%)를 판매하며, 2만1000대(7%)를 판매한 일본계를 제치고 독일계(61.9%)에 이어 2위 차지했다.


지난해 미국의 자동차 전체 수출대수 236만7000대 중 한국 수출은 6만7000대(2.8%)로 한국은 미국의 자동차 수출국 9위의 중요 시장으로 부상했다.


현대차·기아와 GM은 한·미 양국에서 연구·개발(R&D)과 생산시설 투자 확대 등으로 교역확대와 양국의 경제발전과 협력에 기여했다고 KAMA는 분석했다.


현대차와 기아의 지난해 미국시장 판매비중은 8.5%로 역대 기록인 2011년 8.9%에 근접했다. 올해 1~5월에는 9.4%를 기록하는 등 좋은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또 한국GM의 대미 수출은 2011년 1만8000대에서 지난해 23만3000대로 확대됐고, 32.9%의 높은 연평균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M의 지난해 미국시장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22만7000대 중 80.4%가 한국 GM 생산분(18만2000대)로 한국GM과 미국GM간 R&D 및 생산차종을 상호 보완적으로 구성해 일본계 브랜드와 경쟁하고 있다.


정만기 회장은 "과거 미국은 한국 자동차시장이 일본시장과 마찬가지로 폐쇄적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국별 무역장벽 보고서를 통해 한국 내 미국차 판매 증가에 대해 긍정 평가하는 등 인식이 대폭 개선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런 인식개선을 토대로 양국은 자동차뿐만 아니라 반도체, 배터리, 인공지능(AI) 등 미래차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개발과 교차 투자확대 등 협력을 더욱 강화해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