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완전 자율주행車' 기술개발 본격화…정부, 올해 850억원 투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완전 자율주행車' 기술개발 본격화…정부, 올해 850억원 투자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권해영 기자] 오는 2027년 '레벨4' 이상의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범부처 기술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은 레벨4+ 자율주행차 상용화 관련 53개 세부과제를 선정하고 올해 정부예산 850억4000만원을 투입해 기술개발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토교통부·경찰청 등 4개 부처는 2027년 융합형 레벨4+ 자율주행의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974억원 규모의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에 올해부터 착수했다. 레벨4 자율주행은 차량 스스로 상황을 인지·판단해 비상시에도 운전자 개입이 불필요한 수준이다. 융합형 레벨4+는 자율주행 기술 뿐 아니라 인프라와 사회 서비스까지 모두 레벨4 이상으로 혁신한다는 의미다.


올해 선정된 53개 세부과제에는 373개 자율주행 관련 기관의 연구인력 총 3474명(석·박사 1천524명)이 참여한다.


부처별로 산업부는 자율주행 차량부품 개발을 포함한 16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현대모비스, 만도, 서울로보틱스,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표준협회, 카이스트(KAIST) 등 총 104개의 기관에서 799명(석·박사 341명)의 연구인력이 참여한다.


과기부는 데이터 수집·가공 자동화 기술, 차량통신·보안, 클라우드·엣지 연계 자율주행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개발 등 15개 세부과제에 나선다. 케이티, 모라이, 스트리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울대 등 총 92개 기관의 연구인력 903명(석·박사 316명)이 참여한다.


국토부 사업에는 현대자동차, SK텔레콤, 카카오모빌리티, 오토노머스에이투지,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교통연구원, 연세대 등 총 103개 기관의 연구인력 1천85명(석·박사 540명)이 참여해 도로-교통기술, 동적지도, 모빌리티 서비스 실증 등을 주도한다.


경찰청 사업으로는 LG유플러스, 네이버시스템, 차지인, 도로교통공단,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양대 등 총 74개 기관의 연구인력 687명(석·박사 327명)이 참여해 도로교통법 등 법제도 전반 검토, 자율주행차의 운전능력 사전검증 및 운행 지원체계 개발 등에 나선다.


최진우 사업단장은 "부처 간 경계를 두지 않고 세부과제 간 구체적인 연계·협력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사업이 성공하도록 사업단이 전방위적으로 매개체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사업단은 국내 7개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서울 상암·경기 판교·충북·세종·광주·대구·제주) 및 완성차 업체 등을 방문해 자율주행 레벨4+ 기술개발을 위한 협력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