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상완 카이스트 교수, IBM 학술상 받는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계산신경과학과 인공지능 연계 연구 공로 인정

이상완 카이스트 교수, IBM 학술상 받는다 이상완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상완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신경과학-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 소장)가 뇌 기반 인공지능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2021년 IBM 학술상(옛 IBM 교수상) 수상자로 최종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 교수는 2019년에 사이언스 로보틱스(Science Robotics)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우수한 논문을 교신 저자로 게재했다. 계산신경과학과 인공지능을 융합하는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IBM 학술상은 미국 IBM과 전 세계 유수 대학과의 연구 협력 활성화를 위해 제정된 상으로 IBM 연구소장 등 조직 내 핵심 연구자들의 내부 지명을 받아 후보자 군이 선정된다. 이후 연구 제안서의 영향력, 창의성 및 연구 업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종 수상자가 결정된다.


수상자에게는 연구 범위나 특허 관련 제약 조건이 전혀 없는 연구비 형태의 상금이 지급된다. IBM 연구소와 다양한 형태의 연구 교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국내에서는 과거 서울대 윤성로 교수(2018년), 고려대 이재성 교수(2005년), 서울대 문수묵 교수(2000년) 등이 수상자로 선정된 바 있다.


이 교수는 "기계학습 이론을 이용해 뇌의 복잡한 정보처리 과정을 해석하고, 뇌의 고위수준 정보처리 과정을 인공지능 모델로 이식하는 연구는 이제 막 걸음마를 떼는 단계?라며 "뇌-인공지능 공진화 엔진 기술과 전두엽 메타 강화학습 모델링 기술을 활용해 앞으로 IBM 연구원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2016년 구글(Google) 교수 연구상 수상자로 선정된 적도 있다. 구글 교수 연구상도 IBM 학술상과 유사한 취지로 구글과 전 세계 대학의 선도 연구자들과의 연구 협력 활성화를 위해 제정됐다. 계산신경과학 분야에서는 현재까지 이상완 교수가 유일한 한국인 수상자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