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車산업협회 "탄소중립·산업충격 대비 하이브리드車 혜택 지속돼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하이브리드車, 내연차→전기동력차 전환기 가교역할 가능"

車산업협회 "탄소중립·산업충격 대비 하이브리드車 혜택 지속돼야"
AD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탄소중립 및 미세먼지 감축, 전동화에 따른 산업충격을 대비하기 위해선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세제 혜택을 지속·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3일 '하이브리드차 보급 필요성 및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하이브리드차는 전기동력차 전환과정에서의 산업 충격, 탄소중립 및 미세먼지 감축 정책의 현실적 대안"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정부 지원은 2017년 총 383만원에서 올해 183만원까지 매년 50만원씩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보조금 축소에도 하이브리드차는 최근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하이브리드차의 높은 연비로 인해 운행할수록 경제적이라는 인식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으로 레저용자동차(RV)의 경우 2019년 대비 지난해 디젤차 비중이 50.1%에서 41.2%로 감소했으나 하이브리드차 비중은 3.9%에서 8.1%로 증가했다.


KAMA는 이와 관련 "보조금 축소에도 하이브리드차가 높은 성장세를 보인 것은 높은 연비로 인해 운행할 수록 경제적이란 인식이 크게 작용한 것"이라면서 "하지만 세제 지원이 없는 경우 소비자에게 하이브리드차가 가지는 매력이 상당 부분 반감될 수밖에 없다"고 짚었다.


하이브리드차는 현재 탄소중립 및 미세먼지 감축 정책에 있어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점도 지목됐다. 차량 전주기적평가(LCA·Life Cycle Assessment) 관점에서 볼 때 하이브리드 차는 27.5t CO2-eq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반면, 80㎾h급 전기차는 배터리 제조 및 재활용 방법에 따라 최대 28.2t CO2-eq의 배출량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KAMA는 "에너지 발전 구성에 따라 전기차의 친환경성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나 오는 2030년까지 이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면서 "하이브리드차는 중·단기적으론 전기동력차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 전했다.


특히 하이브리드차는 전기동력계 핵심부품(배터리, 모터, 인버터, 컨버터 등)을 함께 사용하면서 내연기관차와 전기동력차 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기동력차 전환 과정에서 중소 부품 업계 등 자동차산업 생태계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할 대안이기도 하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국내 내연기관 부품업체들이 하이브리드차를 '캐시카우' 삼아 향후 전기차 투자에 나설 수 있게 해야 한다"면서 "특히 지난해 기준 전기차 시장의 국산차 비중은 65%인 반면, 세제감면 요건을 충족하는 하이브리드차의 국산차 비중은 87%에 달해 국내 차산업 육성 측면에서도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지원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