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난달 서울 주택거래 절반이 '갭투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대출 규제에도 전세 매물 품귀·가격 상승 탓

지난달 서울 주택거래 절반이 '갭투자'
AD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류태민 기자] 지난달 서울에서 거래된 주택 2채 중 1채가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에도 주택임대차보호법(임대차법) 3법 시행 이후 지속된 전세값 고공행진과 부동산시장 불안이 갭투자의 급증세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10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주택을 거래할 때 제출된 자금조달계획서 4254건 중 갭투자 거래가 2213건으로 52.0%를 차지했다. 국토부는 자금조달계획서상 보증금 승계 금액이 있으면서, 실제 거주하지 않고 임대 목적으로 거래한 주택을 갭투자로 분류하고 있다.


지난해 1월 이후 서울 주택거래에서 갭투자 비율이 50%를 넘긴 건 지난달이 처음이다. 지난해 1월 이후 올해 3월까지 서울의 갭투자 비율은 그해 9월 최저 20.4%와 올해 2월 최고 47.1% 사이에서 오르내렸지만 50%를 넘긴 적은 없었다. 서울 갭투자 거래 비율은 지난해 12월(43.3%), 올해 1월(45.8%), 2월(47.1%) 모두 40% 중반대를 유지해오다 3월 33.2%로 내려간 바 있다.


시장에서는 정부가 대출을 강하게 옥죄고 있지만 전세매물 품귀 현상과 함께 지난해 크게 오른 전셋값이 다시 꿈틀거리는 모습을 보이자 다시 갭투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올 들어 신규 아파트 공급이 주춤한 가운데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세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오히려 무리를 해서라도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사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서진형 경인여대 교수는 "최근에는 DSR까지 포함해 대출규제를 하다보니 대출을 통한 갭투자가 쉽지 않은데 그럼에도 갭투자가 늘어나는 것은 전세가격이 상승함으로 인해서 전세가와 매매가의 갭이 줄어든 것이 결정적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KB부동산 월간주택가격동향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임대차법 시행 이후 9개월 간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2억5554만원에서 올해 4월 3억674만원으로 20.03% 올랐다. 서울의 경우 4억9922만원에서 6억1004만원으로 22.19%나 상승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2017년 5월) 이후 3년 간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률(5%)보다 무려 4배 이상 급등한 것이다.


특히 서울에서는 목동과 강남 재건축 단지 등을 중심으로 주택시장이 다시 들썩이는 모습이다. 서울시는 지난달 27일 압구정·여의도·성수·목동 등지를 갭투자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었지만 일찌감치 다른 곳의 부동산이 과열되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서울 25개구 중에서 지난달 갭투자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양천구로 65.6%에 달했다. 강서구(63.3%), 강북구(61.3%), 영등포구(61.1%), 은평구(60.5%) 등도 높았다. 강남3구의 경우 서초구(57.5%), 강남구(53.1%), 송파구(51.8%) 모두 절반을 넘었다. 지방에서는 세종시의 갭투자 비율이 60%를 넘기며 전국 최고비율을 보였다.



조주현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임대차법 시행으로 전셋값이 많이 올라 투자할 수 있는 갭이 줄어들었다"면서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 즉 아직도 ‘영끌’이 유효하다는 생각들이 ‘집을 사놓자’라는 개념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류태민 기자 righ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