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의 급여를 유리 지갑에 비유하는 것은 비단 8,90년대의 고루한 이야기가 아니다. 물가 상승률과 집값이 오르는 것에 비해 대한민국 직장인의 월급은 10년 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은 수준이다.
과거에는 높은 이자율만으로도 목돈마련이 가능했기에 유리지갑인 직장인들도 시간이 지나면 내 집 마련을 하고 은퇴 후의 미래를 점쳐볼 수 있었다면 요즘은 남녀노소 재테크를 통해 자본금을 늘려야 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이러한 시대적인 요소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 바로 주식 열풍, 비트코인 열풍이다. 2021년 대한민국 투자시장의 양대산맥이라고도 불리는 주식과 비트코인은 소액으로도 쉽게 투자를 시작할 수 있고 적은 자본금으로 몇 배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모든 투자에는 양면성이 있다. 수익률이 높은 만큼 위험성도 높은 것이 최근 투자 열풍 주역인 주식과 비트코인의 속사정이다. 특히 비트코인으로 몇 배의 수익을 내는 사람도 있으나 하루 사이에 자본금이 절반으로 가치가 뚝 떨어지는 것도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
이러한 투자자들의 이목이 ‘아트테크’에 쏠리고 있다. 아트테크는 예술품인 아트와 재테크가 합성된 용어로 예술품을 보유해 저작권료로 수익을 얻는 방식을 말한다. 예술품의 저작권료 이외에도 PPL수익, 전시회 렌털 수익, 이미지 사용료 등 부가적인 수익금을 창출할 수 있어 추가수익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아트테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아트테크, 저작권료 수익 뿐 아니라 PPL 저작권 등 부가 수입으로 수익률 끌어올려
국내에서는 (사)한국전문기자협회 2021 전문브랜드 대상 문화예술분야- 아트테크 부문, 2020년, 2021년 2년 연속 ‘문화예술분야 - 아트테크 부문` 소비자 만족 1위 수상, 전문분야별 전문기업에 선정된 바 있는 지웅아트갤러리가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으며 아트테크 1세대 운용사 전성재 대표가 시장의 저변을 넓혀가는 추세이다.
아트테크라는 투자처의 블루오션을 만들어낸 지웅아트갤러리가 독과점에 가까운 시장 장악력을 보이고 있어 후발주자인 아트테크 중개 플랫폼 중에서는 펀딩을 통해 다수의 투자자가 한 작품을 보유하는 방식의 아트테크를 활성화 하고 있으나 지웅아트갤러리 전성재 대표는 이에 우려를 표했다.
전대표는 “펀딩형 아트테크 중개 플랫폼은 금융당국에 투자 인가를 받은 공식 금융 투자회사가 아니기 때문에 향후 문제가 발생해도 법적인 보호를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다수의 투자자가 한 작품을 보유함으로써 추후 작품을 처분하거나 수익금을 배분할 때에도 문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며 펀딩형 아트테크에 대한 위험성을 전했다.
반면 지웅아트갤러리는 1작품, 1투자자 원칙을 고수하고 있으며 전문 큐레이터가 직접 소비자에게 필요한 정보와 투자 분석 자료를 제공해 소액의 자금이라도 미래 가치가 있는 예술품을 매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미술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일반 투자자들도 쉽게 아트테크를 통해 작품 저작권을 보유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액투자도 1작품 1투자자 원칙을 고수해야 수익과 안전성 기대 가능해
실제 지웅아트갤러리에는 주부, 학생, 사회초년생, 중장년층 등 나이를 불문하고 다양한 투자자들이 문의를 하고 있으며 ’재매입 보증제도‘를 통해 지웅아트갤러리에서 재매입보증제도가 보장되는 미술품을 구입할 시 원칙적으로 1년이 지난 후부터 총 2년동안 재매입 신청을 할 수 있어 안전성과 환급성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업계 아트테크 점유율을 87.8퍼센트 증가시킨 지웅아트갤러리는 국내 최대의 PPL 저작권 활동 규모로 운영되고 있으며 홍콩 등의 큰 외국시장을 타깃으로 지속적으로 수익률을 낼 수 있도록 시장 저변을 넓혀가고 있다.
최봉석 기자 mail0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