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천 자체 폐기물매립지 '에코랜드' 속도낸다…토지매입 완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영흥도 부지에 2025년 준공…인천 쓰레기만 처리
하루 평균 매립량 161㎥, 40년간 사용 가능
밀폐형 에어돔 설치해 오염물질과 주변 환경피해 최소화

인천 자체 폐기물매립지 '에코랜드' 속도낸다…토지매입 완료 인천 자체 폐기물매립지 '에코랜드' 조감도 [인천시 제공]
AD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인천시가 2025년 수도권매립지(인천 서구) 사용 종료에 대비해 추진중인 신규 폐기물 매립시설 조성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 시설은 인천 쓰레기만 처리한다.


인천시는 친환경 자체매립지인 (가칭)'인천에코랜드'가 들어설 옹진군 영흥면 외리 248의1 일대 89만486㎡ 땅을 민간법인으로부터 617억원에 매입하고 소유권 이전 등기를 신청했다고 2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앞으로 입지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수립용역을 시행하는 등 자체매립지 조성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매립지 조성 사업에 반대하는 영흥도 주민단체, 안산시·시흥시 등 인접 지역과의 협의도 다음 달부터 본격화한다.


앞서 시는 지난 달 인천에코랜드 최종 후보지로 옹진군 영흥도를 발표하고, 주민 반발을 고려해 제2영흥대교 건설과 매년 50억원의 영흥 발전기금 지원 등을 약속한 바 있다.


영흥도에 조성될 인천에코랜드는 12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2025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생활폐기물을 그대로 땅에 묻는 현재 직매립 방식과는 달리 지역 내 소각장에서 처리된 생활폐기물 소각재와 불연성 폐기물만 지하 30∼40m 깊이에 묻게 된다.


하루 평균 매립량은 161㎥로 완전 밀폐형 차량이 평일에만 소각재를 운반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매립량을 고려할 때 준공 후 40년간 에코랜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시는 경기 남양주, 충북 청주 등 국내 선진시설들의 장점만을 모아 에코랜드를 만들 계획이다. 에코랜드 상부는 밀폐형 에어돔을 설치해 오염물질과 주변 지역의 환경적 피해가 없게 하고, 매립지 주변을 시민휴식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구상이다.


인천 자체 폐기물매립지 '에코랜드' 속도낸다…토지매입 완료 인천에코랜드 조성 계획도. 주황색 표시한 곳에 폐기물 매립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인천시 제공]


인천 자체 매립지 조성은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해 추진되고 있다.


인천시는 현 서구 백석동에 있는 수도권매립지가 1992년 개장 이후 30년 가까이 서울·경기 쓰레기를 함께 처리하는 탓에 환경 문제가 심각하고 지역 개발사업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매립지 4자 협의체'의 2015년 합의를 내세워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선언했다.


4자 협의체는 수도권매립지 토지 소유권을 인천시로 넘기는 대신 당초 2016년 말이던 수도권매립지 사용기간을 3-1공구(103만㎡) 매립종료 때(약 2025년)까지 연장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다만 합의문 부속조항에 매립종료 시점까지도 대체매립지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잔여부지의 15%(3-2공구, 106만㎡))를 추가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 서울시와 경기도가 이를 근거로 연장 사용을 주장하며 대립하고 있다.


환경부와 서울·경기는 대체매립지를 찾기 위해 지난 1월부터 3개월간 매립지 유치 희망 지역을 공모했지만, 신청 지역은 한 곳도 없었다.


이들 기관은 조만간 대체 매립지 재공모에 나설 예정이지만, 인천시는 1차 공모 때와 마찬가지로 공모 주관기관으로 참여하지 않을 방침이다.


대체 매립지 유치 실패시 현 수도권매립지를 추가 사용하자고 요구할 빌미를 만들지 않겠다는 것이다. 또한 쓰레기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대체 매립지보다는 자체 매립지 조성에 주력하겠다는 것이 인천시의 일관된 입장이다.



오흥석 인천시 교통환경조정관은 "자체 매립지 조성을 위한 사업 부지가 확보됨으로써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위한 실질적인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며 "영흥도 발전계획(친환경 특별섬) 수립에도 만전을 기해 주민 수용성을 바탕으로 '환경특별시 인천'을 만들어 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