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전자 1분기 역대 최대 매출…가전·모바일 날고 반도체 주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삼성전자 1분기 역대 최대 매출…가전·모바일 날고 반도체 주춤
AD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삼성전자가 1분기에 미국 오스틴 공장 생산 차질 여파에도 불구하고 1분기 기준 사상 최대 매출과 9조3000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코로나19에 따른 ‘펜트업’ 수요가 지속되면서 스마트폰과 프리미엄 TV·가전 등의 판매가 크게 늘면서 얻은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다.


삼성전자 특유의 초격차 전략을 끌어가기 위해 연구·개발에도 분기 사상 가장 많은 5조4000억원 이상을 투자했다.


삼성전자는 29일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65조3900억원, 영업이익은 9조38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매출은 전 분기 대비 6.2%, 전년 동기 대비 18.2% 증가하며 1분기 기준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5.4% 증가했다.


삼성전자 1분기 역대 최대 매출…가전·모바일 날고 반도체 주춤


부문별로는 반도체를 포함한 DS 부문이 1분기 매출 19조100억원, 영업이익은 3조7500억원을 기록했다. 반도체는 PC·모바일을 중심으로 메모리 출하량이 양호했으나 낸드 가격의 하락과 신규 라인 초기 비용에 따른 영향을 일부 받았다. 특히 지난 2월 미국 한파 영향으로 오스틴 공장이 생산 중단하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파운드리 사업에서 실적이 하락했다. 삼성전자 반도체 파운드리 사업 담당 한승훈 전무는 이날 컨퍼런스콜에서 오스틴 공장 생산 차질에 따른 손실 규모는 웨이퍼 7만1000장 규모로 가격으로 환산하면 약 3000억~4000억원 수준이라면서 현재는 공장 가동이 완전 정상화 됐다고 밝혔다.


디스플레이는 중소형 비수기 수요 둔화로 전 분기 대비 이익이 줄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OLED 가동률 증가 등으로 이익이 개선됐다.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IM 부문은 매출 29조2100억원, 영업이익 4조3900억원이었으며 CE 부문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2조9900억원, 1조1200억원으로 집계됐다. 무선은 플래그십과 중저가 스마트폰 판매가 큰 폭으로 늘었고 태블릿·PC·웨어러블 등 갤럭시 생태계 제품군도 성장세를 보이며 실적에 기여하는 비중이 확대됐다. CE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가전 펜트업 수요가 지속되고 프리미엄 TV 제품 판매가 확대되면서 전 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이익이 증가했다.



삼성전자의 1분기 시설투자는 9조7000억원이었으며 사업별로는 반도체에 8조5000억원, 디스플레이에 7000억원이 투입됐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수요 증가 대응을 위해 경기 평택과 중국 시안 첨단공정 증설과 공정 전환에 투자가 집중됐고 파운드리는 극자외선(EUV) 5㎚(1㎚는 10억분의 1m) 등 첨단공정 증설을 중심으로 투자가 집행됐다고 밝혔다. 연구·개발비의 경우에는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인 5조4400억원을 집행했다. 이전 최고치는 지난해 1분기 5조3600억원이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