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찰, AI 기반 '범죄위험도 예측·분석시스템' 전국 확대 운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경찰, AI 기반 '범죄위험도 예측·분석시스템' 전국 확대 운영
AD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경찰청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결합해 지역별 범죄 위험도를 예측하는 '범죄위험도 예측·분석 시스템'(프리카스)을 전국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


프리카스는 치안?공공데이터를 통합한 빅데이터를 최신 알고리즘을 적용한 AI로 분석해 지역별 범죄위험도와 범죄발생 건수를 예측하고 효과적인 순찰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이다.


일정구역(100m×100m)별?시간대별(2시간 간격)로 범죄위험도 등급(1~10등급)과 범죄?무질서 발생 예측 건수를 표시하고 위험도가 높은 지역에 대해 순찰이 필요한 경로를 분석, 순찰차 내비게이션(112시스템)에 자동으로 전송해 지구대?파출소의 선제적 순찰 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경찰은 3월 한 달 동안 울산?경기북부?충남 등 3개 시?도 경찰청을 대상으로 안정성?효과성을 점검했다. 그 결과 범죄예측 건수와 실제 발생 건수는 평균 83.1%의 정확도를 보였고, 범죄 위험도가 높은 지역이 실제로 범죄와 112신고가 많은 지역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이 같은 시범운영 결과를 토대로 프리카스 운영을 전국으로 확대하는 한편 시스템을 더욱 고도화하고, 전국적인 치안 동향, 시?도경찰청 활용 효과 등을 분석해 효율적인 범죄예방정책을 제공할 방침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경찰청은 현장에서 최적화된 범죄예방활동을 할 수 있도록 치안 연구개발(R&D)을 통한 종합적인 시스템 개발을 전담할 것”라며 “시·도경찰청은 이를 지역 실정에 맞게 적절히 활용해 국민 보호에 주력하는 등 역할 분담을 통해 자치경찰제 시행에도 국민 안전에 공백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