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아-SK이노, 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 본격 시동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1년 실증사업 통해 EV 배터리 순환경제 가능성·기반기술 확보

기아-SK이노, 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 본격 시동
AD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기아SK이노베이션이 1년 간의 실증사업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 모델 구축에 본격 시동을 걸게 됐다.


기아SK이노베이션은 사용 후 배터리에서 리튬을 포함한 금속을 회수, 전기차 배터리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 조성 가능성 및 기술 기반을 확보했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양사는 지난해 3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강화의 일환으로 '전기차 배터리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난 1년간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실증사업을 통해 배터리 내 금속물질의 회수 가능성과 효과, 효율성 등을 평가했다.


이에 따라 기아는 향후 배터리 성능평가 시스템으로 사용 후 배터리를 평가하고, 잔존성능이 우수한 배터리는 현대자동차그룹 차원에서 모듈 또는 팩 단위로 나눠 에너지 저장장치(ESS)로 재이용한다.


잔존성능이 낮을 경우 기아는 배터리를 셀 단위로 분해하고, SK이노베이션은 자체 기술로 리튬, 니켈, 코발트 등 양극재용 금속자원을 회수해 전기차 배터리에 재활용한다.


양사는 이를 통해 사용 후 배터리와 관련 ▲전처리(배터리 분해) ▲금속자원 회수 ▲양극재 이용 ▲배터리 제조 ▲차량 장착에 이르는 전기차 배터리 순환생태계를 구축한단 구상이다. 아울러 사용 후 배터리의 친환경적 처리를 위한 다양한 관리 모델을 만들어 ESG 경영 확대에도 기여한단 구상이다.


권혁호 기아 국내사업본부장은 "기아SK이노베이션은 사용 후 배터리 이용체계를 공동으로 조성해 전기차 대중화에 따른 제조사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경영을 강화할 것"이라며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기아의 첫 전용 전기차 EV6에도 이 프로세스를 적용해 친환경 모빌리티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김철중 SK이노베이션 전략본부장은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은 글로벌 전기차 대중화에 따른 금속 자원의 수요증가에 대한 대응 중 하나이며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발생 및 국토의 환경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면서 "이번 협업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확립된 사용 후 배터리 활용체계가 글로벌로 확대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