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내 최초 친환경 LNG 예인선…하반기 인천항서 운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국내 최초 친환경 LNG 예인선…하반기 인천항서 운항 친환경 LNG 예인선 '송도호' [사진 제공=인천항만공사]
AD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국내 최초의 친환경 예인선이 올 하반기부터 인천항에 배치된다.


8일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현재 건조 중인 LNG 추진 예인선 '송도호'(324t)가 다음 달 진수돼 시운전을 마친 뒤 8월부터 본격적인 상업운항을 시작할 예정이다.


송도호는 5000마력의 14.0KTS(시속 25.9km) 속력을 발휘하는 324t급 국내 최초 신형 LNG선이다. 중유를 연료로 쓰는 기존 예인선보다 질소산화물 90.2%, 황산화물 100%, 이산화탄소 24.3%, 미세먼지 94%가 저감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예인선은 항계(港界) 안에서 대형 선박을 밀거나 끌기 위해 고출력을 내면서 그만큼 대기오염물질도 많이 배출한다.


정부는 국제해사기구(IMO)의 황 함유량 법적 강화조치를 수용하기 위해 '해양환경관리법' 시행령 개정과 '항만지역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을 통해 전국적으로는 황 함유량 기준을 0.5%, 인천 등 배출규제해역에서는 0.1%로 대폭 강화했다.


이에 따라 전세계 해운사들은 국내외적 법적 기준 아래 그동안 비교적 가격이 낮은 고유황유 대신 높은 저유황유로 연료를 바꾸거나 선박에 스크러버(Scrubber, 탈황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스크러버 설치로 인한 탈황 후처리 문제가 발생하고, 고유황유에 맞춰 설계된 엔진에 저유황유를 사용할 경우 엔진 고장 등의 피해 우려 및 높은 가격의 연료유 부담 때문에 해운사들아 한단계 더 환경친화적인 LNG 전환으로 수요가 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항만공사도 이같은 분위기에 발맞춰 LNG연료 추진 예인선 건조 시범사업을 2년간 진행한 결과, 이번에 국내 최초로 성공적인 건조를 앞두게 된 것이다.


공사는 국내 생산이 불가한 자재를 제외하고는 최대 80% 수준까지 국산 기자재를 사용해 국산 모델의 완성도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송도호는 총건조비 91억원 가운데 해양수산부와 인천항만공사가 17억원을 지원한다.



친환경 예인선 소유주인 한국가스해운 관계자는 "이번 선박 건조 사례를 통해 앞으로 국산 LNG 예인선으로 전환하려는 민간 예인선사들이 해외 의존도를 줄일 수 있게 됐다"며 "성능 또한 해외 품질에 뒤처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A/S 보장과 자재 조달에 있어 해외보다 유리한 조건에서 관리가 가능한 강점이 있다"고 밝혔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