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산업부 인사적체 숨통 트나…1급 인사 최대 3명 예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세종=아시아경제 권해영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다음달께 최대 3명의 1급 실장 인사를 단행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산업부 국장 인사가 연쇄적으로 이뤄지고, 고질적인 인사 적체도 다소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4일 산업부에 따르면 이호준 기획조정실장이 청와대 산업정책비서관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현재 변영만 정책기획관(국장)이 기조실장 대행을 맡고 있다.


기조실장 자리가 공석이 되면서 다음달 신설될 에너지 전담 차관 인사와 맞물려 기조실장을 포함한 실장 인사가 연쇄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산업부는 현재 1실4국 형태인 에너지 조직을 2실 체제로 확대 개편하는 방안을 행정안전부와 논의중이다. 초대 에너지 차관에 산업부 내부 출신이 승진하고, 에너지 조직이 2실 체제로 확대될 경우 기조실장을 포함해 총 3개의 실장 자리가 공석이 된다.


에너지 차관은 탈원전 정책의 후폭풍으로 경직된 산업부를 다독이는 차원에서 신설되는 자리인 만큼 산업부 안팎에서는 내부 승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에너지 조직이 차관 조직으로 격상됨에 따라 실도 1개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산업부 실장 자리는 현재 7개에서 총 8개로 늘어나게 된다.


산업부 내부에서는 실장 승진 대상자로 황수성 산업정책관과 문동민 자원산업정책국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황 국장은 산업기반총괄과장, 신재생에너지정책단장, 산업정책관 등을 거치며 산업과 에너지 분야에 두루 정통하고 업무처리 능력도 우수해 내부 신망이 두터운 것으로 전해졌다. 문 국장의 경우 자본잠식 상태로 파산 직전까지 간 한국광물자원공사와 한국광해관리공단을 통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한국광해광업공단법'의 국회 통과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아 실장 승진 가능성이 높다는 전언이다.


실장 인사가 큰폭으로 이뤄지면 국장급 후속인사도 연쇄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극심한 내부 인사적체도 소폭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산업부 에너지 차관 신설은 야당이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연계해 당론으로 반대하고 있어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는 상황이다. 에너지 차관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 한 달 후 신설되는데 여야 합의가 지연되면서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는 상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전날에도 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었지만 여야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