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은 관심밖?' 바이든, 시진핑에 인권·홍콩·대만 우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취임 후 21일만에 첫 통화
대중 '선전 포고'
韓 부담 커질 듯
북한 언급도 없어

'北은 관심밖?' 바이든, 시진핑에 인권·홍콩·대만 우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국방부에서 연설하며 대중 국방전략 수립을 위한 태스크포스 설치를 발표하고 있다.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뉴욕=백종민 특파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첫 통화하며 중국이 불편해하는 인권, 무역, 홍콩, 대만 문제를 직접적으로 거론하고 강한 압박에 나섰다. 바이든 대통령은 외교 전문가 답게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보다 더욱 거침없는 행보를 보였다.


우리 정부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북한 문제는 이번에도 거론되지 않은 것도 눈 여겨 볼 대목이다.


백악관은 10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이 처음 통화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이 밝힌 통화 내용은 대부분 시 주석에 대한 강한 압박으로 일관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 최대의 명절 '춘제'를 축하한 후 곧장 공세에 나섰다. 백악관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자신이 미 국민의 안전과 번영, 건강,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을 우선시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특히 시 주석에 중국의 강압적이고 불공정한 경제 관행과 홍콩 탄압, 신장 지구 인권 유린, 대만에 대한 위협에 대해 우려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인과 전세계 동맹국 국민에게 이로울 경우 실용적이면서 결과 지향적인 개입을 하겠다고 언급했다. 이는 동맹과 연대해 적극적으로 대중 압박에 나서겠지만 중국의 양보가 있다면 협력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해석된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 세계 보건 안보, 기후 변화, 무기 확산 방지 등 공통사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중국은 미국의 경쟁자 선언...북한 언급 없어
'北은 관심밖?' 바이든, 시진핑에 인권·홍콩·대만 우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두 정상의 통화는 바이든 대통령 취임 21일 만에 이뤄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지속해서 중국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여왔다.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과의 극심한 경쟁을 거론하고 시 주석이 민주적이지 않다고 직접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취임 후 처음 국방부를 방문해서도 대중 국방전략 수립을 위한 태스크 포스 설치를 공개하고 나섰다.


두 정상의 통화에 앞서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과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도 지원사격에 나섰다.


국무부에 따르면 양 장관은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을 위해 한미일 3국 조율과 쿼드를 통하는 것을 포함해 추가적인 역내 협력을 기꺼이 받아들이기로 했다


국무부는 특히 두 사람이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열도 주변에서 중국의 점점 더 커지는 주장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센카쿠 열도가 미일안보조약 제5조의 범위에 해당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이날 바이든 대통령과 블링컨 장관의 발언은 한국도 미국의 대중 압박을 위한 동맹 규합에서 예외가 될 수 없음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미·중 갈등 사이에서 문재인 정부의 외교가 또 다시 시험대에 오를 가능성도 커진 셈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시 주석의 통화에서도 북한 문제를 거론하지 않았다. 이 역시 조기 북미 협상 재개를 원하는 한국 정부에게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든 행정부는 대북 전략을 재검토하겠다는 입장만 밝히고 있다.








뉴욕=백종민 특파원 cinq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