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구독경제 정기결제·SNS 뒷광고' 피해 대책 필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인터넷 상생발전 협의회 결과

[아시아경제 차민영 기자] 구독경제와 라이브커머스 등 새로운 유형의 정보통신(IT) 서비스 사용 과정에서 피해를 입은 이용자를 위한 대응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다. 정부 주도의 협력 모델을 통해 시장 독점적 앱마켓 사업자·콘텐츠 제공자간 수직적 관계가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7월 구성한 '제3기 인터넷 상생발전 협의회'가 지난 6개월간의 운영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5일 방통위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소비자·시민단체, 통신·미디어·법률·경제 전문가, 국내외 기업, 연구기관, 정부 등 총 31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자문기구로 이용자 중심의 인터넷 생태계 강화와 신규 서비스 활성화 등을 위한 정책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구성됐다.


협의회는 ▲ 신유형 서비스 이용자 피해 대응 및 이용자 권익 제고 ▲ 이용자 중심의 인터넷 생태계 강화 ▲ 5G 및 신규서비스 활성화 방안 등을 제안했다.


신유형 서비스가 늘어남에 따라 이에 대한 피해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는 제언이다. 협의회는 ▲구독경제 서비스 이용자 보호를 위한 정보제공 강화 ▲뒷광고 및 라이브커머스 허위·과장 광고 관련 이용자 피해 대응을 위한 플랫폼 사업자의 자율적 관리조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이용자에게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 제공 및 선택권 부여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도 요청했다.


이용자 중심의 인터넷 생태계가 강화돼야 한다는 주문도 나왔다. 협의회는 ▲시장지배적 앱마켓 사업자가 다른 결제방식을 이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다른 앱마켓 사업자에 대해 콘텐츠 제공을 거부하도록 강요·유도하는 행위를 금지해야 한다는 데에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또한 ▲디지털 포용을 위해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및 인센티브 제공이 가능하도록 정부주도의 협력모델 발굴을 권고했다.


5G 및 신규서비스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에도 공감대가 형성됐다. ▲정부 차원의 5G 설비투자 촉진, 5G 핵심서비스 발굴·지원 등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견해 차이를 보이기도 했으나 5G서비스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데에는 대부분 공감했다. 한편, ▲마이데이터를 다양한 산업으로 확대해 신규서비스 창출을 촉진하기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방통위는 "이번 결과 보고서가 인터넷 환경 변화에 대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하며, 앞으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결과 보고서는 방통위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