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무증상 고위험집단, 최대 10개 검체 합쳐서 코로나19 진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무증상 고위험집단, 최대 10개 검체 합쳐서 코로나19 진단 미국 뉴올리언스 튤레인대 연구진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진행하고 있다.<이미지: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 우리 방역당국과 진단분야 의료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감염여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확인하는 취합검사법 프로토콜(표준양식)을 만들었다.


9일 질병관리본부는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학회 소속 의료기관 3곳과 협업해 국내 실험상황에 맞게 프로토콜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취합검사법은 여러 명의 검체를 혼합해 1개 검체로 만들어 검사하는 방식이다. 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남은 검체로 따로 재검사를 한다. 증상은 없으나 감염예방을 위해 주기 검사가 필요한 요양시설 입원자 등 위험집단에서 감염여부를 선별하는 데 유용하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질본과 진단검사의학회 소속 의료기관은 국내 실정에 맞는 프로토콜을 만들기 위해 함께 평가시험을 650차례 거쳤다. 10개 검체를 함께 섞어 검사해도 개별 검체 대비 민감도(양성여부를 확인하는 정도)를 96% 이상 유지 가능하다. 미국 의학회지(JAMA)에서도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한 방법으로 소개했다.



취합검사법은 코로나19 확진여부를 가릴 때는 아니고 증상이 없는 위험군의 질병감시 목적으로만 쓸 예정이다. 드러나지 않는 지역사회 환자를 찾아 미리 감염확산을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봤다. 권계철 진단검사의학회 이사장은 "검사가 반드시 필요한 유증상자는 개별검사를 하고 무증상자에 대한 선제적 검사는 취합검사법을 사용하면 검사에 소비되는 비용과 시간은 대폭 줄이고 검사 정확도는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