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종인 선대위원장' 없던 일로…황교안 선대위 총괄체제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김종인 선대위원장' 없던 일로…황교안 선대위 총괄체제로 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윤동주 기자 doso7@
AD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가 4ㆍ15총선을 한 달 앞두고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맡기로 했다. 선대위원장으로 유력하게 논의됐던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은 당 내외의 잡음이 불거지며 결국 선대위원장을 고사했다. '김종인 카드'가 날아간 황교안 대표는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와 공관위를 겨냥해 쓴소리를 날리며 내부 군기잡기에 나섰다.


황 대표는 16일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오늘부터 당을 선대위 체제로 운영하겠다"며 "제가 직접 선대위의 상임선대위 총괄선대위원장으로서 깃발을 들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에 구성되는 선대위는 경제ㆍ나라살리기 선대위"라며 "앞으로 중앙당과 시도당은 선거때까지 비상체제로 운영되는 만큼 모든 당직자는 비상한 각오로 임해 달라"고 말했다.


그동안 유력하게 논의됐던 김 전 위원장 카드는 무산됐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오전 측근인 최명길 전 의원의 페이스북을 통해 "미래통합당의 선대위원장으로 활동할 의사가 없음을 밝힌다"며 "황 대표께도 어제 더 이상의 논의를 끝내자고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선대위원장을 맡는 것이 기정사실화됐던 김 전 위원장이 결국 고사하게 된 것은 선대위 체제에 대한 이견차를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는 "미래통합당 내부 사정이 복잡해지면서 황 대표가 여러 명의 선대위원장이 나서는 공동선대위체제를 다시 이야기했다"며 "저는 '그렇다면 굳이 나를 영입하려는 이유가 뭔지를 알 수가 없다. 여러분들이 합심해 잘 하기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김 전 비대위원장은 과거 여러 차례 언론 인터뷰를 통해 공동선대위원장은 맡지 않겠다고 밝힌바 있다.


공천을 둘러싸고 벌어진 잡음으로 김형오 공관위원장이 사퇴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미래통합당 내에서는 김 전 비대위원장이 선대위원장직 수락 조건으로 공천권에 대한 요구를 했다는 이야기가 나왔고, 최고위는 일부 공천 결과에 대해 재심의를 요구한 바 있다. 최근 인터뷰에서 태구민(태영호) 전 북한 공사에 대한 발언으로 '탈북민 비하' 논란에도 휩싸였다.


황 대표는 김 전 비대위원장 영입을 두고 발생한 잡음을 의식한 듯 '군기잡기'에도 나섰다. 일단 대구 무소속 출마를 외친 홍 전 대표에 대해서는 "책임 있는 분들이 당의 결정에 불복하면서 자유민주 대열을 이탈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넓은 정치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사천' 논란이 일었던 공관위에도 "지역 여론과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가치를 높이 헤아려 공천을 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홍 전 대표는 황 대표를 향해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을 텐데. 이제 그만 입 다물고 종로 선거에나 집중하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홍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 글에서 "오늘 황 대표가 기막힌 말을 했다. 참 가관이다"면서 "협량 정치, 쫄보 정치를 하면서 총선 승리보다는 당내 경쟁자 쳐내기에만 급급했던 그대가 과연 이런 말을 할 수가 있나"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향후 선대위는 공동선대위 체제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이완구 전 국무총리, 정병국 전 대표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주호영 의원도 이날 YTN라디오 '노영희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이완구 전 총리나 혹은 정병국 전 대표나 이런 분들과 상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