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통합당, 선대위 출범 임박했는데…막판 '김종인 모셔오기' 잡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통합당, 선대위 출범 임박했는데…막판 '김종인 모셔오기' 잡음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미래통합당이 4·15 총선을 한 달 앞두고 가까스로 선대위 체제로 전환하려는 모양새다.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이 선대위원장으로 유력한 가운데 당내에서 반대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막판까지 진통을 겪고 있다. 김 전 비대위원장이 지적한 공천 문제도 여전히 풀리지 않은 상태다.


태영호 전 북한 공사는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김 전 비대위원장의 과거 인터뷰 발언을 거론하며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앞서 김 전 비대위원장이 언론 인터뷰에서 태 전 공사를 가리켜 "남한에 뿌리가 없는 사람"이라며 지역구 후보에 부적합하다고 지적한 데 따른 것. 태 전 공사는 "논란이 되고 있는 소위 '뿌리론'은 남한에 고향을 두지 않은 사람들이 대한민국에서 누려야할 권리와 역할에 대한 부정"이라며 "깔끔하게 사과하지 않고서 선대위원장으로서 어떻게 국민에게 미래통합당을 지지해 달라고 말할 수 있겠나"고 말했다.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3선 김영우 의원도 김 전 비대위원장의 선대위원장 영입을 반대했다. 그는 14일 페이스북에서 "김종인씨를 선대위원장으로 영입한다는 설익은 계획과 김종인씨의 태영호 후보 저격은 완전 자충수요 패착"이라며 "그분은 장점이 많은 분이지만 지금 시점에 미래통합당 선대위원장을 다시 맡아달라 애원하는 것은 참 없어보이고 못난 짓"이라고 말했다.


통합당은 지난달부터 김 전 비대위원장을 선대위원장으로 영입하는 방안을 추진하며 대화를 이어왔다. 김 전 비대위원장도 이같은 제안을 수락할 가능성이 크다는 이야기가 들려온다. 하지만 공천을 둘러싼 잡음이 커지면서 '김종인 선대위'가 계획대로 출범할 수 있을지는 다소 불투명해졌다.


공천 잡음이 커진 것은 김 전 비대위원장이 일부 결과를 수정하기를 요구했기 때문이다. 김 전 비대위원장은 앞서 "공천 잡음을 해소하지 않으면 선대위를 맡을 수 없다"고 밝혔고, 최고위는 지난 12일 6개 지역의 공천 결과에 대해 재심의를 요구했다. 김 전 비대위원장을 모셔오기 위한 '명분 쌓기'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다. 공관위는 김 전 비대위원장이 요구한 태 전 공사의 비례대표 전환 등을 수용하지 않은 채 2개 지역에 대해서만 공천 결과를 수정했다.



이어 지난 13일 강남병 공천 번복에 대한 책임을 지고 김형오 공관위원장이 사퇴했지만, 이석연 부위원장이 직무대행을 맡아 그대로 공관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김 전 비대위원장이 선대위원장을 맡더라도 공관위와 공천 결과를 두고 충돌할 가능성이 크다. 통합당은 이르면 16일 최고위를 열고 김 전 비대위원장을 선대위원장으로 하는 선대위 출범을 의결할 계획이지만 공천 변수가 불거지면서 출범 시기가 더 늦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