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형 빈집' 밀집지역 들여다보니…76% '구조상태불량'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서울형 빈집' 밀집지역 들여다보니…76% '구조상태불량'
AD

빈집 접도 현황(계단·경사지 등) 자료:서울연구원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 '서울형 빈집'이 밀집한 지역의 빈집 10가구 중 7가구 이상이 '구조 상태 불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2m 미만 협소도로를 끼고 있는 빈집 역시 전체의 80%에 육박했다. 서울에선 빈집이 뉴타운ㆍ재개발 해제지역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는 만큼 구역 내 입지와 주택의 물리적 상태, 주변 지역 활용 현황 등을 파악해 빈집 활용 방안을 구체화해야 한다는 진단이다.


7일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서울시내 뉴타운ㆍ재개발 해제지역 중 사직2, 옥인1, 충신1, 성북4, 도봉3구역 등 빈집 밀집지역 5개소를 심층 조사한 결과 총 빈집 수는 188건, 구역별 평균 38건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안전사고 위험이 있거나 구조가 불량한 주택은 전체의 76%에 달했다. 2m 미만 협소도로에 접한 필지 역시 79%가 넘었다. 또한 73% 이상의 빈집은 장기간 방치돼 폐기물이 적치돼 있었다.


지금까지 서울의 빈집은 정비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한 '일시적 빈집'이 대부분이었다. 이들은 철거 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자연스럽게 해결됐다. 그러나 2012년부터 진행된 뉴타운ㆍ재개발 출구전략으로 총 393개 정비구역이 해제됐다. 빈집이 발생하는 시점에 정비사업구역 해제 절차를 밟는 구역이 늘면서 빈집 발생이 확대, 장기화되기 시작했다.


서울연구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빈집 밀집 지역의 특성과 정비의 시급성을 고려한 빈집정비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빈집의 철거 또는 리모델링 등 정비방향을 구체화하고 열악한 기반시설을 정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빈집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먼저 빈집의 물리적 상태를 파악해야 한다. 구조 상태가 비교적 양호해 골조를 활용할 수 있다면 리모델링을 우선적으로 검토하되 붕괴 위험이 있거나 구조상태가 매우 열악한 빈집은 철거 후 활용을 검토해야 한다. 빈집이 집단적으로 발생한 지역은 기반시설이 열악하고 주택 구조가 불량하거나 폐가 상태인 경우가 많다. 장남종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연구위원은 "이같은 지역은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을 통해 집단적으로 정비하고 공공에서는 정비를 유도하기 위해 건폐율과 주차장 확보 관련 규제 완화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구원은 또 자치구 단위로 빈집정비계획을 수립하되 빈집이 발생하는 양상과 정비의 시급성을 고려해 '중점정비구역'과 '우선정비지역'을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장 연구위원은 "빈집 현황에 대한 기초자료를 토대로 노후 불량 빈집이 밀집해 있는 정비사업 해제지역은 '중점정비구역'으로 지정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며 "빈집 소유자나 사업시행자가 빈집을 원활히 정비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