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재영 KIEP 원장 "신북방정책, 국민 체감할 수 있게 내실화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신북방은 경제 뿐 아니라 장기적 국가발전정책"
"韓, 신남방-신북방 플랫폼 역할해야"

이재영 KIEP 원장 "신북방정책, 국민 체감할 수 있게 내실화해야"
AD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신북방정책은 경제 뿐 아니라 장기적 차원의 국가발전 정책입니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공사례를 하나씩 내실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재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은 최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문재인 정부의 신북방정책 성공 조건을 이같이 설명했다.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을 이끄는 이 원장은 모스크바국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북방경제 전문가다.


때마침 문재인 대통령은 16일부터 7박 8일 일정으로 투르크메니스탄ㆍ우즈베키스탄ㆍ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에 나섰다. 문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서 신남방정책과 함께 혁신성장의 핵심 경제축인 신북방정책의 외연을 본격적으로 확장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 원장은 특히 극동지역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의 신북방정책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추진하는 신동방정책의 접점이 극동"이라면서 "극동은 미지의 지역이고 21세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마지막 개척지"라고 소개했다. 이어 "임산, 수산자원이 많아 농업과 수산업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고 교통물류, 관광, 의료보건 등에서 다양한 사업을 모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남ㆍ북ㆍ러 3국이 모이는 지점이라는 점에서 "삼각협력의 토대가 될 수 있다"면서 "철도, 가스파이프, 에너지, 전력망 연결 등 협력은 한반도 통일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런 의미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가시적 성과는 신남방정책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부진하다. 아세안만하더라도 지난해 교역액이 1500억달러를 넘었고 인도와의 교역도 200억달러를 돌파했다.


이 원장은 "북방에서 구소련 국가들과의 교역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가장 규모가 크다는 러시아와의 교역액이 200억 달러를 조금 넘을 뿐이다. 이 원장은 그러나 "북방지역의 잠재력은 매우 크다. 중앙아시아, 러시아와 농업, 수산업 등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공사례를 하나씩 내실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를 기반으로 협력을 확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이 신남방과 신북방의 교두보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초과학이 발달한 러시아, 우리나라의 응용기술, 동남아의 시장을 결합할 수 있다"면서 "한국이 플랫폼을 만들어 남방 국가들과 공동 연구개발 같은 신기술 협력체제도 구상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달 취임 일주년을 맞이했다. 소감을 묻는 질문에 "한반도 신경제지도의 현실화, 신남방 및 신북방 정책의 구체화 등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는 실질적 정책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해왔다"라고 답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지난해 미국 펜실베니아대 '싱크탱크와 시민사회 프로그램(TTCSP)'이 실시한 전 세계 싱크탱크 평가에서 전세계 8162개 연구기관 가운데 국제경제정책부문 5위에 올랐다.




세종=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