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역세권 청년주택, 5월 강변서 '1호 입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역세권 청년주택, 5월 강변서 '1호 입주'
AD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 '2030'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위해 서울 도심 등에 공급되는 '역세권 청년주택'이 오는 5월 첫 입주를 시작한다.


2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오는 5월 광진구 구의동 587-64 일대에 들어서는 강변역 역세권 청년주택 74가구를 완공하고 입주자 모집에 나선다. 당초 지난해 하반기 입주 예정이었으나 착공 지연으로 입주 일정이 올해 5월로 연기됐다. 서울시는 이어 7월 성동구 용답동 233-1 일대 장한평역 역세권 청년주택과 12월 용산구 한강로2가 2-350 일대 삼각지역 역세권 청년주택 등에서 입주자를 모집할 계획이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시가 용도지역 상향과 용적률 완화 및 절차 간소화, 건설자금 지원 등을 제공하면 민간 사업자가 대중교통중심 역세권에 주거면적 100%를 임대주택(공공ㆍ민간)으로 지어 청년층에게 우선 공급하는 정책이다. 전체 물량의 10~25%를 서울시가 확보해 청년들에게 주변 시세의 68~80%로 임대한다. 대상은 대학생ㆍ취업준비생ㆍ사회초년생 등 19~39세 청년과 신혼부부 등이다. 공공 임대주택 입주 요건은 행복주택 기준과 유사하다.


서울시는 현재 서대문구 충정로3가, 마포구 서교동, 강남구 논현동, 강서구 화곡동 등 총 75곳에서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을 진행 중이다. 현재 사업 인가가 완료된 역세권 청년주택은 26곳, 사업 인가가 진행 중인 곳은 31곳, 사업 인가를 준비 중인 곳은 18곳이다. 총 2만8000가구 규모다. 시는 2022년까지 역세권 청년주택 8만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추가 제도 개선을 통해 민간 사업자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해 10월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을 통해 역세권의 범위를 지하철역 승강장 경계로부터 반경 250m에서 300m로 확대했다. 이로 인해 사업 대상지는 기존 9.61㎢보다 약 3㎢ 넓어져 12.64㎢가 됐다. 통합심의ㆍ승인으로 일반 사업지보다 사업 절차가 빠르게 진행되는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촉진지구' 지정 가능 면적은 기존 5000㎡에서 2000㎡로 완화됐다. 도로ㆍ공원 같은 공공시설뿐 아니라 공공임대주택을 기부채납하는 경우에도 법정 최대 한도 용적률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앞서 대중교통중심 역세권 요건 중 도로 폭 기준 역시 30m 이상에서 25m 이상으로 완화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서울 시내 284개 역 중 대중교통중심 역세권이 212곳에서 236곳으로 늘어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면적 제한을 완화하고 절차를 보다 간소화하는 추가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민간임대주택의 임대료 제한이 지난해 주변시세의 80% 수준에서 85~95%로 완화됐고 기준이 되는 주변 시세 역시 한국감정원에 의뢰해 산정하는 등 객관성 담보를 위해 힘쓰고 있어 민간 사업자의 사업성 역시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역세권 청년주택 건립을 둘러싸고 기존 지역 주민들과의 갈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청년주택이 건립되면 교통난 및 일조권 침해와 음주ㆍ흡연ㆍ안전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주민들의 우려다. 서울시는 지역 편의시설 공급 등을 통해 더불어 살기 좋은 지역을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