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터넷 집단지성, 빅데이터로 보니 소수 독점 우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규제 없는 지식생성 과정에서 소수의 여론 독점 경향성

"인터넷 집단지성, 빅데이터로 보니 소수 독점 우려"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AD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인터넷상에서는 누구나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 가능한 것처럼 보이지만 소수의 힘으로 여론을 쉽게 독점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최희윤, 이하 KISTI)은 경남과학기술대학교(이하 경남과기대), 한국과학기술원(이하 KAIST) 연구진과 공동연구를 통해 인터넷 백과사전, 논문, 특허 등의 진화 양상을 빅데이터로 분석한 결과 집단지성 형성 과정의 규칙성을 밝혀냈다고 19일 밝혔다. 또 이를 바탕으로 모든 집단지성에서 지속적으로 소수의 영향력이 커지는 지식의 독점화가 심해지고 있다는 진단을 내놓았다. 이번 연구결과는 18일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인간행동' 온라인판에 실렸다.


KISTI 미래기술분석센터 윤진혁 선임연구원, 경남과기대 교양학부 이상훈 교수, KAIST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로 구성된 연구팀은 우선 273개 언어로 쓰여진 863개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각각의 성장을 측정해 변화 양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모든 데이터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성장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신규 기여자의 유입이 점점 줄어드는 것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

연구진은 이 같은 현상이 독점의 영향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기여자들 사이의 기여 불평등을 정량화해 '불평등 지수'의 변화를 추적했다. 지식이 축적될수록 지식 생성의 불평등 지수가 높아졌으며, 소수의 독점적 영향력이 증가해 기여자의 행동을 대부분 지배하는 '독점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독점 집단은 집단지성 생성 초기에 나타나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며 신규 기여자가 이런 독점 계층에 진입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도 밝혀냈다. 연구진은 "지식이 축적될수록 미래의 집단지성 지식 독점이 더 심해지는 현상이 뚜렷하게 예측됐다"며 "현 상태를 방치한다면 온라인상의 정보가 소수에 의해 독점돼 왜곡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논문과 특허에서도 독점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다. 논문과 특허가 많이 발표된 국가들일수록 소수 연구자에 더 의존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신규 참여가 더 쉽다고 알려진 인터넷 백과사전이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것으로 알려진 논문과 특허에 비해서 더 독점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역설적 현상도 발견됐는데 이는 진입장벽과 규제가 없는 경우에 더 쉽게 소수가 독점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KISTI 윤진혁 박사는 "새로운 접근법과 빅데이터를 통해 인간 지성과 여론 형성 과정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며 "대부분의 정보가 인터넷에서 유통되는 현재, 풍성하고 협동적인 환경을 유지하고 소수의 독점화를 줄이려면 새로운 참여자들의 적극적 활동을 지원하고 독과점에 대해 제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