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역화폐 전성시대]원화(₩)만 있다구요?…'매출효자' 전국 56개 화폐가 대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연내 8곳 추가, 전국 64곳으로
성남시 매출 30% 쑥 성공모델
경기도 주도, 4년간 580억 투입
카드·모바일 발행형태도 변화
주민·소상공인 반기는 분위기
특정상권 상품권 쏠림은 경계


[지역화폐 전성시대]원화(₩)만 있다구요?…'매출효자' 전국 56개 화폐가 대체
AD


[아시아경제 정동훈 기자, 이은결 기자] "성남사랑상품권 활성화 이후 휑하던 거리가 활기를 띠기 시작했습니다. 상권은 역시 사람이 북적북적하고 돈이 몰려야 가볼 맛 나는 것 아니겠습니까?"


김준태 성남시 수정구 상인연합회장은 지역화폐인 성남사랑상품권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지역에서만 소비할 수 있는 상품권이 발행되면서 상인들은 얼어붙었던 상권에 온기가 돈다고 입을 모은다. 성남시는 2017년 기준 279억원의 판매 실적과 7769개소 가맹 계약을 이뤄내 지역화폐의 성공 모델로 평가받는다. 2016년 이 지역에 청년배당 제도가 도입되면서 유통량이 크게 늘었고 상인회 간 마케팅ㆍ홍보 경쟁도 불이 붙었다. 김 회장은 "5% 추가 할인 등 일부 상권에서는 성남사랑상품권 이용객들을 모셔오기 위해 애를 쓰고 있다"며 "상인들이 대형마트나 편의점 등으로 가던 고객들을 다시 모셔올 수 있다는 자신감도 찾았다"고 말했다.

◆지역화폐 전성시대…연내 64곳까지 늘어= 지역화폐 전성시대다. 지역화폐는 1997년 경제 위기 이후 지역 경제 활성화와 실업 구제 등의 목적으로 도입됐다. 전국 지역화폐 64개가 우리나라 돈 '원화'를 대신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현재 강원도, 인천 강화, 광주광역시 남구, 경기도 성남 등 전국 지방자치단체 56곳이 지역화폐를 운영 중이다. 올해 안으로 발행할 예정인 지자체는 8곳이다. 지역화폐는 지자체가 발행하고 해당 지자체 행정구역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돈이다. 지역 상권 활성과 공동체 강화를 위해 도입됐다. 2000년대 중반부터는 지역화폐의 한 유형으로 지역상품권 도입 논의가 활발히 이뤄져왔고 문재인 정부는 국정과제로 지역화폐 활성화를 선정하기도 했다.

[지역화폐 전성시대]원화(₩)만 있다구요?…'매출효자' 전국 56개 화폐가 대체



◆경기도가 주도= 광역자치단체 중에서는 경기도가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다. 성남시장 출신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취임하면서 도 전체로 확산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는 2022년까지 31개 시ㆍ군에서 지역화폐를 순차적으로 발행한다는 구상이다. 발행 규모만 1조5905억원에 이르며 4년간 투입되는 예산은 도비와 시ㆍ군비를 합해 580억원에 이른다. 지역화폐는 일반적인 거래 수단으로도 활용되지만 아동수당이나 청년배당, 산후조리비와 같은 정책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도 발행된다. 이 때문에 발행 형태도 지류뿐만 아니라 카드, 모바일 등으로 확대되고 블록체인, 간편결제 시스템이 결합된 새로운 시스템도 등장하고 있다. 주민들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2016년 경기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경기도민 70.3%가 지역화폐 활용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도민 5명 중 4명은 지역화폐가 지역 경제를 개선해줄 것으로 기대했다.


실제 지역화폐 활용률이 높으면 지역 내 소비 증가와 자금 역외 유출 방지를 통해 지역 소상공인ㆍ자영업자의 소득이 증대된다. 지역상품권의 경우 온누리상품권의 사용처인 전통시장, 상점가와 더불어 소규모 유통업, 중소 영세 상가, 골목상권 등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에서 사용 가능하고 백화점, 대형마트 등 대규모 점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실제로 경기도 성남 돌고래시장의 경우 지역상품권 도입으로 지난해 설 명절 기간 매출이 전년 대비 18억원에서 23억원으로 증가했다. 금호시장도 2억원 가까이 매출 증대 효과를 봤다.

[지역화폐 전성시대]원화(₩)만 있다구요?…'매출효자' 전국 56개 화폐가 대체 성남시 지역화폐인 '성남사랑상품권'



◆소상공인도 환영= 돈이 지역 내에서 돌고 돈다는 점에서 소상공인들도 환영하는 분위기다. 성남 중원구에서 식자재 유통 매장을 운영하는 이정은 대표는 "특정 상권에만 상품권이 몰리는 현상은 경계해야 한다"면서도 "성남 지역 상권은 매출이 30% 이상 증대되는 등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고 말했다. 최승재 소상공인연합회장은 "지역화폐는 도입 이후 죽어가던 상권도 되살아나는 등 지역 활성화에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며 "지역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이루며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은 긍정적"이라고 강조했다. 최준규 경기연구원 정책분석부 연구위원은 "지역상품권은 일회성 소비, 운영상 비용 문제 등이 있지만 우리나라 환경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활용 가능한 지역화폐 유형"이라고 평가했다. 행정안전부는 국정과제인 '소상공인, 영세 중소기업 지원 대책'의 일환으로 지자체의 상품권 발행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연내 고향사랑 상품권 이용 활성화 관련 법도 제정할 계획이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이은결 기자 le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