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장단기금리差 11년來 최저…경기침체 선행지표 '논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美 장단기금리差 11년來 최저…경기침체 선행지표 '논란' 자료:한국은행
AD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 최근 미국의 장단기금리차가 약 1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면서 경기침체 선행지표로 해석하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통상 경기둔화가 예상되면 단기금리에 대한 기대치가 줄면서 장단기금리차가 축소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16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해외경제포커스에 따르면 미 국채 10년물과 2년물 스프레드가 지난달 27일 기준 18bp(1bp=0.01%포인트)로 2007년 7월24일(17bp)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10년물과 3개월물 스프레드(8월22일 기준)도 73bp까지 축소됐다. 이는 2008년 1월17일(59bp) 이후 최저치다. 즉 수익률곡선이 평탄화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이는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정책금리를 인상하면서 단기금리가 올랐음에도 장기금리 상승이 제한된 영향이다. 미국 정책금리는 2015년 12월 0~0.25%에서 지난 6월 1.75~2.00%로 175bp 올랐다. 반면 10년물 국채금리는 2015년 12월말 2.27%에서 지난 8월 2.86%로 59bp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일부에서는 장단기금리차 축소를 경기침체의 선행지표로 해석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론적으로 경기둔화가 전망되면 미래 단기금리에 대한 기대치가 하향조정되면서 장기금리가 내려간다는 것이다. 장기금리는 현재와 미래의 단기금리 평균에 기간프리미엄을 더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과거의 사례 역시 이같은 의견을 뒷받침한다. 1960년대 이후 7차례의 경기침체가 장단기금리차 역전 이후에 발생했다. 미 연준내에서도 수익률곡선 추이에 주목하고 있다. 세인트루이스, 미니애폴리스 미 연준 총재는 이같은 상황에서 정책금리 인상기조를 이어갈 경우 경기침체 현실화 가능성에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반면 수익률곡선이 편탄화되는 요인을 다른 데서 찾는 의견도 나온다. 주요국 중앙은행들의 자산매입, 안전자산 선호현상으로 미국장기국채 수요가 늘면서 장기금리가 낮은 수준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지난 8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역시 이같은 시각을 나타냈다. 또 금리, 신용스프레드 등 다른 요인을 제외하고 장단기금리차만으로 경기침체를 예상할 수는 없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수익률 곡선 추이에 유의할 필요는 있지만 통화정책의 결정적 고려사항으로 간주하지는 않는다"는 견해를 내놨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