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북적이는 대형 외지 어선으로 목포 경제 활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부산, 삼천포 등 트롤·저인망 어선 50여척 입항

급유, 숙박·식비 등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상당'

북적이는 대형 외지 어선으로 목포 경제 활력
AD



[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박기동 기자] 전남 목포시 북항에는 지난 21일부터 부산, 삼천포 등 70~100t급 외지 트롤 및 저인망 어선 50여척이 입항해 북적이고 있다.

이들 어선은 주로 오징어나 어묵용 잡어 등을 잡는 배로 동해의 대표적 수산물인 오징어는 몇 년 전부터 목포 인근 해역에서 어장을 형성해 새로운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


수산업과 관련산업이 지역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목포에 이들 어선은 더없이 반가운 존재다.

특성상 여름철에 집중 조업하는 이들 어선은 7~11월 월평균 3회 북항에 정박해 급유 등 재출항을 준비한다. 배의 규모가 크고, 1척당 평균 승선원도 13명으로 많기 때문에 북항에 정박하는 동안 목포에서 소비하는 금액도 크다.


트롤 어선은 안강망, 유자망 어선 등보다 선체가 커 그만큼 급유량도 많다. 소규모 어선이 40~60드럼을 급유하는데 비해 트롤 어선은 600드럼 이상을 급유한다.


이로 인해 목포수협의 유류판매액도 크게 증가했다. 지난달 기준으로 2016년에는 59억 원, 2017년에는 89억 원이었던 판매액은 올해 116억 원으로 2년 전과 비교하면 2배 가량이 증가했다. 목포수협이 올해 예상하는 판매금액은 300억 원이다.


유류뿐만 아니라 어획과 선상 생활 등에 필요한 물품의 소비도 크다. 북항에 정박하는 동안 목포의 숙박업소, 음식점 등에서 지출하는 금액도 상당하다. 목포수협에 따르면 급수비(2억 원), 선수품, 부식비(약 5억 원), 어상자, 얼음, 숙박 및 식비(약 16억 원) 등이 목포에서 소비되고 있다.


북항은 태풍 내습시 피항지로도 선박들이 선호하는 항구다. 올해는 지난 7월 제7호 태풍 쁘라삐룬, 8월 제19호 태풍 솔릭을 피하기 위해 많은 배들이 북항에 정박했다. 이로 인해 숙박업소는 태풍의 반사효과를 누리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북항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경제활동이 활발하지만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물양장, 급유시설 등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며 “북항을 이용하는 수산업 종사자의 불편함이 없도록 행정적으로 뒷받침하고 목포지방해양수산청, 목포수협과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박기동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