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ST "시진핑 내달 첫 북한 방문"…방문 목적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ST "시진핑 내달 첫 북한 방문"…방문 목적은?
AD



[아시아경제 베이징 박선미 특파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의 초청을 받아 다음달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미국과 외교,경제 분야에서 힘겨루기를 하고 있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려고 하는 만큼 이번 시 주석의 방북 목적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8일 싱가포르 스트레이츠타임스(ST)는 시 주석이 다음 달 평양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시 주석은 김 위원장의 초청을 받아 오는 9월 9일 북한 정권수립 7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에 참석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시 주석의 방북은 집권 이후 처음이다. 중국 국가 주석이 북한을 방문하는 것은 2005년 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때 이후 13년만에 이뤄지는 것이다.


앞서 북한 여행사들은 북한 내 상황 때문에 이달 11일부터 내달 5일까지 어떠한 단체여행도 중단하겠다고 중국여행사들에 통지해 시 주석이 북한을 방문하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있었다. 또 일각에서는 시 주석의 북한 방문을 앞두고 약 30명으로 구성된 중국 정부 선발대가 먼저 평양에 입성해 북한과 협의를 진행 중이라는 소식도 들리고 있다.

시 주석의 북한 방문 시점은 무역문제에서 미국과 중국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고, 북한 이슈에 있어서는 한반도 비핵화 구축에 중국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라는데 주목할만 하다. 전문가들은 시 주석의 방북이 한반도 문제에서 중국 위상의 변화와 미국의 전략 변화를 견인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지난 6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북미 정상회담이 이뤄졌지만, 이후 비핵화 협상은 교착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백악관 각료회의에서 북미 관계가 좋긴 하지만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 갈등 때문에 미국과 북한의 관계에도 나쁜 영향을 주고 있다며 '중국 배후론'을 꺼내든 바 있다.


리밍장 난양기술대 국제학 교수는 "중국이 북한과 더 가까워 지는 모습을 보이면서 미국 정부에 신호를 보내고 있다"며 "북한의 비핵화에 어떤 중대한 돌파구라도 생기려면 미국이 중국의 더 강한 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알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시 주석의 방북으로 남북한, 미국, 중국이 참여하는 4자간 종전선언 가능성도 커질 전망이다. 당초 중국은 지난 4월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판문점 선언 당시 종전선언이 언급되며 그 당사자로 남북한과 미국만 언급되자 당혹해 하면서도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피력하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중국 역할론'을 강조하며 남북한, 미국과 함께 중국이 종전선언에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중국은 최근 중국을 포함해 남북한, 미국이 참여하는 4자간 종전선언을 미국에 제안했지만, 미국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으로서는 시 주석이 방북할 경우 미국에 맞서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이는 비핵화 협상에서 최대의 우군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북한은 지난 6월 북미 정상회담 전 대미 협상 국면에서도 중국을 확실한 우군으로 확보해 정상회담 성과를 보여준 바 있다.




베이징 박선미 특파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