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건강을 읽다]20·30대 잇몸병 환자↑…"아래 앞니 안쪽 칫솔질 중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1초

흡연·스트레스·식습관 원인…연 1회 스켈링 급여화 활용해야

[건강을 읽다]20·30대 잇몸병 환자↑…"아래 앞니 안쪽 칫솔질 중요"
AD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30대 직장인 김씨는 점심 시간에 이탈리안 레스토랑에서 파스타와 탄산음료를 주문했다. 점심식사 후 후식으로 커피와 케이크를 먹은 다음 가게를 나와 식후 담배를 피웠다. 사무실에 돌아온 김씨는 미처 양치를 하지 못하고 일을 하다 간식으로 캐러멜을 먹고 퇴근 시간을 맞았다. 이후 술자리에서 맥주에 딱딱한 견과류를 곁들여 마신 뒤 집에 돌아와 피곤한 나머지 그냥 잠들어버렸다. 최근 이를 닦다가 피가 나고, 잇몸이 부어 통증을 느낀 김씨는 결국 치주염 진단을 받았다.

최근 젊은 잇몸병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7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치주질환과 치은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12년 865만2720명에서 2016년 1425만4378명으로 급증했다. 특히 20~30대 젊은 환자가 5년 사이에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환자는 2012년 208만5374명에서 405만8754명으로 5년 사이 94.6% 증가했다.


치주질환은 주로 성인이 된 이후 증상들이 조금씩 나타나고 노화와 더불어 서서히 진행돼 치과 질환 중 대표적인 성인병으로 불린다. 그러나 최근 치주질환을 앓는 젊은 층이 증가했다. 젊은 환자가 늘어난 데에는 조기검진 확대 영향도 있지만 흡연, 스트레스, 식습관, 음주문화의 변화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강경리 강동경희대치과병원 치주과 교수는 “예전과 달리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연 1회의 스켈링 급여화에 따라 조기 치과검진을 통해 자각하지 못했던 잇몸 질환을 일찍 발견하고 있다”면서 “연령층을 떠나 흡연, 스트레스, 식습관 변화나 음주문화도 잇몸병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전에는 치아 청결작용에 도움이 되는 섬유질 많은 식품을 주로 섭취해왔지만, 산업발달과 함께 섬유질 식품보다는 육류와 부드러운 가공식품, 치아표면에 잘 달라붙는 식품, 달콤한 음료나 커피의 섭취가 증가했다. 이는 충치뿐만 아니라 잇몸병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앞서 사례로 든 김씨처럼 다양한 음식을 섭취한 후 칫솔질 없이 그대로 잠들게 되면 치아 건강에 빨간 불이 켜질 수 밖에 없다.


치주질환은 충치와 함께 입안 세균에 의해 나타나는 대표적 구강 내 염증 질환이다. 병의 정도에 따라 잇몸에만 염증이 있으면 '치은염', 잇몸과 잇몸뼈까지 염증이 진행되면 '치주염'으로 나뉜다. 강 교수는 “초기 치은염에는 칫솔질만 꼼꼼히 해도 어느 정도 회복이 가능하지만, 치주염까지 진행된 경우 입냄새가 나고, 잇몸이 붓고 고름이 생긴다"면서 "이를 계속 방치하면 치아가 흔들리고 음식을 씹지 않아도 통증이 생기며 결국에는 치아가 빠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치주질환은 치아 외에도 전신 건강에도 영향을 준다. 치주질환을 가진 경우 호흡기계 감염, 동맥경화나 심근경색, 당뇨병, 조산·저체중아 출산 등의 확률이 정상인에 비해 더 높다.


치주병 예방을 위해서는 일단 어릴 때부터 올바른 칫솔질 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칫솔질 할 때 겉으로 쉽게 보이는 치아 면은 잘 닦지만 혀 쪽의 치아 면은 소홀히 하기 쉽다. 특히 아래 앞니의 안쪽 면은 침샘과 가까워 치석이 더 잘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더 세심하게 칫솔질 해야 한다.


치과 정기 검진도 필수다. 잇몸치료는 잇몸 뼈가 염증으로 소실되면 다시 재생하기가 어려워, 문제가 생기기 전에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강 교수는 "정기적인 치과 점검과 잇몸관리를 통해 치아표면의 치석과 치태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갑자기 잇몸이 아프거나 부을 때에는 급성염증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바로 치과를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